2024.02.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8℃
  • 구름조금강릉 5.1℃
  • 박무서울 2.5℃
  • 맑음대전 4.6℃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5.1℃
  • 맑음부산 5.9℃
  • 맑음고창 5.0℃
  • 구름많음제주 8.3℃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2.5℃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5.1℃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기술/산업

안정적인 멜론 생산 위한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 확립

- 멜론꽃 피기 2~3일 전 비닐온실 1동당 꿀벌 벌통은 1개, 뒤영벌은 2개

- 화분매개벌 사용 중 농약 사용은 자제

  

      < 멜론에서 꿀벌 화분매개   >                                     < 멜론에서 뒤영벌 화분매개 >.

 

  

                 <  멜론 꿀벌 방사  >                                         <  멜론 뒤영벌 방사  >

농촌진흥청은 시설 멜론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을 확립했다고 밝혔다.

 

멜론은 단성화로 꽃가루를 암술에 묻혀줘야 과실을 맺는다. 멜론 재배 농가에서는 손으로 일일이 수분을 하거나 화분매개벌을 사용하고 있다. 2020년 기준 멜론의 화분매개벌 사용률은 73%에 달하며, 한 해 평균 1만 5,000여 벌무리(봉군)가 멜론 생산에 사용된다.

 

멜론 재배 여건은 지역에 따라 시기, 온실의 형태와 크기, 재식밀도 등 다양하다. 하지만, 일정한 기준 없이 관행에 따라 화분매개벌(꿀벌, 뒤영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정적으로 멜론을 생산하기 위한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확립한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에 따르면, 온실(660㎡, 멜론 3,300주 기준) 1동당 꿀벌 벌통은 1개(벌집 2매, 일벌 5,000마리)가 필요하다.

 

꿀벌 벌통 내부에는 알을 낳는 여왕벌 1마리가 있어야 하며, 밖에서 일하는 나이 든 벌(외역봉)이 안에서 일하는 어린 벌(내역봉)보다 많아야 한다. 벌집에는 알과 애벌레, 번데기 방이 있어야 한다.

뒤영벌을 이용할 때는 온실 1동당(660㎡, 멜론 3,300주 기준) 벌통 2개(각 벌통당 일벌 150~200마리)가 필요하다.

 

뒤영벌 벌통 내부에는 알을 낳는 여왕벌이 1마리 있어야 하며, 벌집을 살짝 두드렸을 때 ‘윙’ 소리를 내며 움직임이 활발한 벌무리를 사용해야 한다.

 

뒤영벌 벌무리의 수명은 30~45일로 오래될수록 어두운 빛을 띠고 활동량이 떨어지므로 밝은 노란색을 띠는 벌무리가 좋다.

 

뒤영벌의 경우 하루 동안 밖에서 일하는 벌은 전체 일벌 수의 15~20%에 그치므로, 밖에 돌아다니는 벌이 적다고 해서 벌통을 두드리거나 발로 차서는 안 된다.

 

화분매개벌을 사용하는 시기는 멜론꽃이 피기 2~3일 전이 좋다. 벌은 투입한 후 7~14일 동안 사용하고, 이 기간에는 농약 사용을 자제한다.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면 농약을 뿌리기 전날 저녁 벌들이 벌통으로 들어간 다음 벌통을 온실 밖으로 옮겨놨다가 농약을 뿌리고 1~2일 환기한 뒤 벌통을 다시 넣어준다.

 

아울러 한차례 온실에서 화분매개에 사용한 꿀벌의 일벌들은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으므로 잇달아 다른 온실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벌통 내에 병이 번질 수 있으므로 꿀 따는 벌로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을 멜론 농가에 적용한 결과, 인건비가 줄고 효율적인 벌 사용으로 상품과율이 늘어 인공수분보다 10아르(a)당 꿀벌은 약 58만 원, 뒤영벌은 약 52만 원의 추가 소득을 올릴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멜론에서의 화분매개벌 이용 기술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멜론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이용 교육과 기술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 한상미 과장은 “멜론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꿀벌과 같은 화분매개벌 이용은 필수다.”라며, “화분매개벌을 효율적으로 이용해 부족한 일손을 대신하고 멜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정책

더보기
농어업위, 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해 첫걸음 떼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농림해양 기반 치유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지난달 23일(화) 농어업위 대회의실에서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 주재로 전문가 간담회를 가졌다. 농산어촌 소멸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활성화 수단으로서 치유산업 활성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한 이번 간담회는 치유농업, 해양치유, 산림치유, 치유산업 등 전문가 총 7명이 참석하여 각 분야 현황과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농어업위에서 실현 가능한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로는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 최소영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과 과장, 이애경 단국대학교 교수, 홍장원 해양수산개발원 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 연구위원, 최정호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장, 김남훈 ㈜그린에코 대표, 지호선 스마트치유산업포럼 부원장, 이성호 산림청 산림치유과 사무관이 포함됐다. 주제발표 중 치유농업 분야는 최소영 과장이 중앙정부 관점에서 치유농업법과 관련한 제도·연구·거버넌스 현황과 지원 정책 소개하였고, 이애경 교수는 전략방안과 관련하여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해 설명했다. 해양치유 분야는 홍장원 연구위원이 해양치유자원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