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은 2030년까지 빈곤 · 기아 종식, 기후변화 대응 등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차질 없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푸드시스템의 대전환(transformation)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유엔은 이를 논의할 정상회의를 9월 미국 뉴욕에서 개최할 계획인 가운데 모든 유엔 회원국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가능한 “모두의 정상회의(people’s summit)”가 될 수 있도록 각 회원국별로 푸드시스템 전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장관 김현수)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 이개호 의원(농해수위 위원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 원장 김홍상)은 이의 준비 일환으로 지난 6월1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푸드시스템 대전환 방안을 논의하는 종합 토론회를 개최했다. 123개 국가에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추어 지난 2월 국내 논의를 이끌 ‘의장(national dialogue convenor)’으로 농경연 김홍상 원장을 지명하여 유엔에 알리고, 3월 30일 첫 회의를 시작했다. 첫 회의에서 푸드시스템에 관한 대국
지방 도매시장이 인구감소, 대기업자본의 농산물 도소매 유통 분야 유입으로 경쟁력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지역농산물 유통 순환 체계의 핵심시설로 활용해 지역 농산물 유통을 활성화하고, 푸드플랜과 지방 도매시장의 공공성을 결합해 활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지역유통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 도매시장 기능 재편 방안’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농산물의 유통 실태와 지방 도매시장과 푸드플랜의 결합 가능성을 진단하고 연계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도매시장의 기능인 농산물의 수집, 가격 결정, 분산 등의 수행이 어려운 지방 도매시장을 대상으로 해당 소재 지역 중 푸드플랜이 수립된 춘천시, 익산시, 진주시를 사례지역으로 설정해 조사·분석했다. 이 같은 설정을 통해 지방 도매시장이 푸드플랜이 수립된 지역에서의 역할과 가능성 등을 살펴봤다. 먼저 사례지역의 먹거리 유통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주요 생산품목이 산지유통시설을 통해 외부(대도시)로 공급되고 있으며, 지역 도매시장의 거래 상위품목에는 지역 주요 생산품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이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