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20.2℃
  • 맑음강릉 19.4℃
  • 맑음서울 20.1℃
  • 맑음대전 21.7℃
  • 맑음대구 23.6℃
  • 맑음울산 15.8℃
  • 맑음광주 22.5℃
  • 구름조금부산 15.5℃
  • 맑음고창 20.5℃
  • 맑음제주 17.2℃
  • 맑음강화 16.5℃
  • 맑음보은 21.2℃
  • 맑음금산 21.1℃
  • 맑음강진군 20.0℃
  • 맑음경주시 21.3℃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전남도, ‘청년 친환경농업인’ 육성…계약재배 확대

-60명 양성…안정적인 판로공급 기대 ‘일석이조’-

 전라남도는 청년 농업인들이 친환경농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올해 ‘친환경농산물 계약재배 청년농가 육성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친환경농산물 계약재배 청년농가 육성사업’은 도내 49세 이하 청년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며, 소형 비닐하우스(규모 330~990㎡)를 비롯 청년 농가와 친환경 학교급식 공급업체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라남도는 올해 총사업비 6억 2천 700만원(도비 24%, 시군비 56%, 자담 20%)을 투입해 60여 농가를 육성하고 연차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친환경 식재료를 학교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은 쌀 등 곡류는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하나, 상추와 깻잎, 풋고추, 토마토 등 채소와 과일류는 학교급식의 수요가 있어도 지역 여건과 시기에 따라 생산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사업을 통해 친환경농업인이 증가하면 생산농가와 공급업체간 적정 물량을 계약재배할 수 있게 돼 친환경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계약재배 농산물 공급 후 발생한 잉여 생산물에 대해 인접 지자체 학교급식 공급주체들이 거래할 수 있는 물류체계도 구축해 농산물 가격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전라남도는 올해 사업으로 이같은 체계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경우 생산자는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고, 소비처인 친환경 학교급식센터는 제때 양질의 식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희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이번 사업은 도내 청년농업인은 물론 귀농하는 청년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매력적인 사업이다”며 “도내 학교급식부터 공급을 우선 시작해 연차적으로 광주시를 비롯한 수도권 학교급식까지 공급을 확대한다면 파급력이 클 것이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안마도, ‘사슴과의 40년 전쟁’ 끝!…
앞으로, 서식 밀도가 너무 높아 농림수산업 등에 피해를 주거나 주민 생활에 피해를 주는 꽃사슴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될 전망이다. 또한 가축을 유기한 사람에 대한 벌칙 규정을 신설하는 등의 제도개선도 함께 추진된다. 이는 지난 2024년 1월, 국민권익위가 무단 유기 가축 처리에 대한 제도개선을 권고한 이후, 환경부 (장관 김완섭)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에서 적극적인 후속 조치를 이행한 결과다. 국민권익위 제도개선 권고(무단 유기 가축 처리방안) 주요 내용에 따르면 환경부의 권고사항은 ① 안마도 사슴으로 인한 주민 피해 및 생태계 교란 실태 조사 ② 조사 결과에 따라 법정관리대상 동물 지정 여부 결정 등 후속조치이며, 농식품부의 경우 ① 가축사육업 등록취소 또는 폐업 시 가축 처분 의무화 규정 ② 가축 유기한 자에 대한 처벌 조항 신설 등이다. 꽃사슴은 1950년대 이후 가축 사육 등 경제적인 활용 목적과 전시 목적으로 대만과 일본에서 수입된 외래종이다. 안마도의 경우와 같이, 수입된 꽃사슴 중 일부가 주인으로부터 버려져 야생에서 번식하게 되었지만, 이를 규율할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개체 수 조절에 한계가 있었다. 전라남도 영광군의

건강/먹거리

더보기
통신판매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 67개소 적발
" 강원도 소재 ◯◯제조업체는 국내산과 외국산 원료로 제조한 과자류의 원산지를 00중개사이트에 국내산으로 거짓표시 → 형사입건 " " 전라남도 소재 ◯◯제조업체는 외국산 원료로 만든 떡의 원산지를 00중개사이트에 국내산으로 거짓표시 → 형사입건 " " 경기도 소재 ◯◯제조업체는 중국산 깻잎무침의 원산지를 ◯◯중개사이트에 국내산으로 혼동 우려 표시 → 형사입건 " " 전라남도 소재 ◯◯유통업체는 호주산 소고기를 원료로 제조한 식육추출가공품의 원산지를 ◯◯중개사이트에 국내산으로 혼동 우려 표시 → 형사입건 " " 경기도 소재 ◯◯유통업체는 중국산 마늘을 ◯◯중개사이트에 원산지를 미표시 → 과태료 부과 " 이같은 현상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박순연, 이하 농관원)은 4월 14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온라인 플랫폼, 쇼핑몰 등 통신판매 원산지 표시 특별단속을 실시한 결과,위반 사례업체이다. 이번 위반업체는67개소 적발했다. 농관원 사이버단속반(295명)이 온라인 플랫폼, 쇼핑몰 등에서 위반이 의심되는 업체를 찾아 특별사법경찰관과 소비자단체 명예감시원이 합동으로 현장 단속을 실시했다. 소비자단체 명예 감시원은 소비자교육중앙회,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한국소비자연맹,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