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1 (화)

  • 맑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3.4℃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4℃
  • 맑음대구 0.1℃
  • 맑음울산 1.5℃
  • 맑음광주 -0.7℃
  • 맑음부산 4.0℃
  • 맑음고창 -3.2℃
  • 맑음제주 6.4℃
  • 맑음강화 -2.0℃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4.1℃
  • 맑음강진군 0.4℃
  • 맑음경주시 2.1℃
  • 맑음거제 3.1℃
기상청 제공

김영록 전남지사, 진도 ‘벼 흑백수’ 피해현장 점검

-“철저한 피해 조사 및 지원 약속”…피해농가도 위로-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0일 잇따른 태풍 바비마이삭하이선 등으로 발생한 벼 흑백수 피해현장을 찾아 신속한 피해 조사와 지원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이날 진도군 지산면 벼 흑백수 피해현장을 방문해 피해 현황을 살피고 농민들을 위로했다.

김 지사는 “벼 수확을 앞둔 농가가 흑백수 피해를 입어 대단히 안타깝다”며 “정확하고 신속한 재해복구비 피해율 산정이 이뤄지도록 조치해 농가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전라남도는 시군 읍면동 사무소를 통해 태풍에 따른 농작물 피해 조사 및 접수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농업재해대책법에 따른 복구지원대책을 수립해 피해농가가 재해보상에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흑백수 피해가 7일 정도 늦게 나타나는 특성을 감안해 중앙부처에 피해조사 결과 입력기간을 연장해 줄 것을 아울러 건의했다.

한편 최근 태풍에 따른 전남지역 벼 흑백수 피해면적은 10일 기준 총 6천 303㏊로 흑수 4천 138㏊, 백수 2천 165㏊로 집계됐으나 피해는 계속 늘 것으로 보인다.

벼 ‘흑수 현상’은 어느 정도 익은 알곡이 바람에 서로 부딪혀 검게 변하는 현상이고, ‘백수 현상’은 벼 알이 아물기 전에 수분이 증발해 하얗게 마르는 현상이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8만㏊ 감축 목표, 자율적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
쌀 공급과잉 해소를 통한 쌀값 안정과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 벼 재배면적 조정제 ’가 추진된다. 지자제 중심의 자율적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하던 것이 지자체 중심 없이 자발적 추진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마련하면서 ‘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계획을 발표 했으며, 제도 첫 시행에 따른 현장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동안 세부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완했다. 먼저 시도‧시군구는 지역여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인증 전환, 전략작물 재배 등 5가지 유형별 세부 감축 계획을 2월까지 수립하고 지역농협‧생산자 단체와 협력을 통해 성실히 감축을 이행한다. 벼에서 타작물 재배로 전환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전략작물‧친환경 직불금 지원을 확대한다. 논에 타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배수개선(’25년 신규 10지구), 논 범용화 등 타작물 생산 기반 지원도 확대한다. 콩‧가루쌀 수매 비축, 식품기업과 연계한 전략작물의 제품개발 · 판촉 등 유통 ‧ 소비 기반도 지원한다. 또한 지자체를 통해 자율적으로 타작물 전환, 자율감축 등을 적극 발굴하여 벼 재배면적 조정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성과가 우수한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