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8℃
  • 구름조금강릉 5.1℃
  • 박무서울 2.5℃
  • 맑음대전 4.6℃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5.1℃
  • 맑음부산 5.9℃
  • 맑음고창 5.0℃
  • 구름많음제주 8.3℃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2.5℃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5.1℃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건강/먹거리

식품연,「비만 관련 유전자 억제 통해 비(非)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방안 발표

- 동물실험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Cmip)의 발현 낮추자 지방세포 수와 크기 감소, 혈중 중성지질 농도 저하
- 맞춤형식이연구단 최효경 박사팀, 생쥐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국제 학술지에 발표

  비만 관련 유전자의 억제를 통해 비(非)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비만 생쥐(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Cmip)의 발현을 낮추자 생쥐의 간세포 내 지방세포 수와 크기 감소, 중성지방 감소 등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형희)은 지난 30일 이같은 내용의 비만 생쥐에서 Cmip(C-malf inducing protein)란 유전자의 발현이 높다는 사실과, 이 변화가 메틸화(化) 조절이란 후성유전학적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식품기능연구본부 맞춤형식이연구단 최효경 책임연구원 연구팀의 연구 결과로, 국제적인 학술지 ‘실험 및 분자의학’(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생쥐에게 흔히 서구식 식단으로 통하는 고지방ㆍ고당 사료를 12주간 제공해 일부러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일으켰다. 최 박사팀은 이로인해 비만해진 생쥐의 간 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로 여겨지는 Cmip 유전자의 메틸화(化) 수준이 낮으며, 유전자 발현이 크게 높아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DNA 메틸화 효소 발현 조절을 이용, Cmip 유전자 메틸화(化)가 Cmip 유전자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비만 생쥐의 비만 관련 유전자인 Cmip를 메틸화(化)했더니, 지방간 해소>

 

더 나아가, 연구팀은 ‘비만 호르몬’으로 통하는 렙틴(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질환 생쥐의 간조직에서도 Cmip의 메틸화(化)가 Cmip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실제로 비만 생쥐의 Cmip 유전자를 억제하자, 생쥐의 간 조직에서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 감소, 혈중 중성지방이 감소했다.

 

최 박사는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준 것,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감소한 것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개선됐다는 것을 뜻한다”며 “Cmip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ㆍ예방ㆍ치료를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앞으로 Cmip 메틸화(化) 유도를 통한 유전자 발현 억제를 이용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ㆍ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영양 소재를 발굴하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인체 질환의 75% 이상이 가족력ㆍ생활습관ㆍ주변 환경 같은 외부적 요인이 원인이다. 이런 외부적 요인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을 다루는 학문이 바로 후성유전학이다. 유전자(DNA)의 메틸화(化)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질병을 예방ㆍ치료하는 대표적인 후성유전학적 질병 대처법 중 하나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기자)


정책

더보기
농어업위, 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해 첫걸음 떼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위원장 장태평)는 농림해양 기반 치유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지난달 23일(화) 농어업위 대회의실에서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 주재로 전문가 간담회를 가졌다. 농산어촌 소멸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활성화 수단으로서 치유산업 활성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한 이번 간담회는 치유농업, 해양치유, 산림치유, 치유산업 등 전문가 총 7명이 참석하여 각 분야 현황과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농어업위에서 실현 가능한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로는 김창길 농어촌분과위원장, 최소영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과 과장, 이애경 단국대학교 교수, 홍장원 해양수산개발원 지역경제·관광문화연구실 연구위원, 최정호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연구개발센터장, 김남훈 ㈜그린에코 대표, 지호선 스마트치유산업포럼 부원장, 이성호 산림청 산림치유과 사무관이 포함됐다. 주제발표 중 치유농업 분야는 최소영 과장이 중앙정부 관점에서 치유농업법과 관련한 제도·연구·거버넌스 현황과 지원 정책 소개하였고, 이애경 교수는 전략방안과 관련하여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해 설명했다. 해양치유 분야는 홍장원 연구위원이 해양치유자원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