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농축산이라는 산업, 해양수산이라는 산업에 대한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농어민이 사는 농촌과 어촌이 정말 살 만한 마을과 고장이 될 수 있도록 농어촌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아울러 특장이 되는 관광과 먹거리, 또 각종 문화 콘텐츠들과 결합해서 새로운 제2차, 3차의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록 많이 유념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리 농림축산식품와 해양수산부 업무보고 모두 발언에서 이같은 내용의 의견을 밝혔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 농림축산식품부하고 해양수산부는 국민들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산업을 다루는 부처이다”며 “제일 중요한 것은 농축산 산업과 해양수산 산업의 효율성을 올리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며, 정부 부처가 해야 될 일이 그런 것 아니겠냐고”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 지금은 이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그리고 디지털화가 점점 심화, 고도화되는 그런 상황에서 산업자원부라든지 중기벤처부뿐만 아니라 농수산, 해양 담당하는 부처에서도 담당하고 있는 산업이 더욱 디지털화되고 더욱 첨단화되고 또 더욱 혁신을 이뤄내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며 “ 그렇게 해야만 우리 청년들이 진입하지 않았던 농업과 수산 분야에도 청년들이 혁신에 뛰어들게 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 저희가 금년에 도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제 위기를 수출로 그리고 기술 혁신으로 돌파하겠다고 이미 누차 말씀드렸고, 여러분도 그러한 각오를 가지고 계신 만큼 농림축산과 해양수산 분야에서도 산업의 고도화와 혁신을 통해서 수출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추진해 주기를 당부드린다 ” 며 “ 특히 수출과 관련해서는, 이것은 해수부 업무인데 물류가 매우 중요하고, 그래서 우리 스마트 항만과 물류 시스템의 디지털화․고도화를 아주 강력하게 추진해야 되겠다“고 밝혔다. " 농수산물이라고 하는 것은 현지에서 생산한 농어민들과 도시의 소비자들 사이에 유통 구조가 합리화 돼서 모두가 이익을 보는 그런 합리적인 유통 구조를 꾸준히 설계하고 개선해 나가야 된다" 덧 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 생산되는 쌀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소화하느냐와 관계없이 무조건 정부가 매입해 주는 이런 식의 양곡관리법은 농민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며 " 어느 정도의 시장 기능에 의한 자율적 수급 조절이 이루어지고 가격의 안정과 또 우리 농민들의 생산에 대한 어떤 예측 가능성을 주기 위해서 정부가 일정 부분 관여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무제한 수매라고 하는 양곡관리법은 결국 우리 농업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연두보고에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남성현 산림청장, 장태평 농어업 농어촌 특별위원장, 김홍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이 참석했으며 민간에서는 오천호 에코팜의 산골이유식 대표, 이승호 한국축산단체협의회장, 이성희 농협중앙회장, 최무열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이학구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이숙원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등 140명이 참석했으며, 이후 수출활성화와 농어촌활성화 주제로 토론회가 있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