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내 최초 저탄소 인증 한우농가 27개소가 탄생한 가운데 ‘ 저탄소 인증 축산물 '이 7월부터 소비자 식탁에 오를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7월 6일 국내 최초로 저탄소 인증을 받은 27개 한우농가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 저탄소 축산물 인증마크 >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는 생산과정에서 저탄소 축산기술을 적용하여 농가 평균 배출량보다 10% 이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경우 인증하는 제도이다.
이번에 인증받은 농가는 △조기출하, △탄소저감 분뇨처리, △에너지 절감 시설, △도체중 향상 등의 특징적 기술을 적용하여 탄소 배출을 저감한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사양관리의 저탄소축산 기술은 조기출하, 저 메탄 사료 급이, 저단백 사료 급이, 부산물 사료 급이, 생산성 향상 장비 도입, 조사료 자가 생산이며 가축분뇨 관리의 기술은 강제 공기 공급, 기계교반, 위탁처리, 분뇨의 비농업계 이용, 깔짚 관리, 부숙 촉진 및 부숙도 검사 등으로 분류된다.
에너지 절감기술의 저탄소축산 기술은 저탄소 인증자재 사용, 빗물 재활용 기술,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태양광 축사 사용 등이며, 기타의 경우 폐사축 처리기 활용, 나무 식재 등으로 분류된다.
이번 인증받은 상위 5개 우수 농가는 조기출하와 가축분뇨 처리기술 등을 적용하여 일반농가 대비 평균 17.2%의 온실가스 감축률을 보였으며, 2022년출하 성적에서도 평균 74.5%가 1+등급 이상 출현율을 보여 일반농가(65.4%)에 비해 육질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한우 시범사업은 하반기(8월) 추가 모집하고, 2024년부터는 축종을 양돈 · 낙농까지 확대하고 인증물량도 늘릴 계획이다.
인증농가 중 일부는 이미 백화점 등과 출하 계약을 맺고 7월달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소비자는 저탄소 인증마크와 축산물이력시스템을 활용한 개체 조회를 통하여 저탄소 축산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인증농가의 원할한 판로 확보를 위해 유통계약을 지원하고 소비자단체와 협업하여 저탄소 축산물 인지도를 제고하는 한편, 농가별 고유 기술을 수록한 사례집 등을 제작·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부터 탄소중립 프로그램 사업과 연계하여 저탄소 인증농가에 탄소중립 직불금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5월부터 국민이 체감하는 확실한 혁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저탄소 축산물 활성화 방안 수립’을 과제로 정책 수요자인 국민과 공무원, 서비스 디자이너 등으로 구성된 국민정책디자인단을 운영한 데 이어, 2022년 8월17일(수) 탄소 저감기술을 활용하는 충남 홍성의 축산농장을 방문하여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도의 성공적 도입․운영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국민정책디자인단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