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술을 적용한 농식품 밸류 체인 전반의 온실가스 감축과 저 탄소 농업의 핵심 분야로 유기농업의 역할 재정립과 흙 ( 토양)은 거대한 탄소저장고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 적절한 토양관리를 위한 특단의 조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창길 서울대 특임교수는 지난 16일 열린 2022 한국유기농업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농업무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경제와 유기농업’이란 기조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농업은 안전한 농식품 공급의 생명산업의 본원적 역할을 넘어 국가 탄소관리의 효자산업으로 위기보다는 기회로 활용하는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며 “ 농림축산식품부의 ”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 실천을 위한 실효성 있는 세부 실행프로그램 수립과 지속적 이행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유기농업과 그린 이코노미” 란 주제로 열린 이번 통계학술대회에서 김태연 한국유기농업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 환경을 훼손하는 농업에서 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는 농업으로의 전환은 이제 세계적인 대세이다”고 하면서 “ 이번 학회에서는 우리 특성에 맞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육성하여 탄소중립과 녹색경제를 실현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장태평 대통령소속 농어업 · 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은 한국유기농업학회 동계학술대회 축사문에서 “기후· 환경· 생육정보 등의 유기농업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최적화된 생산 솔루션 개발, 유기농 식품의 소비 경향을 예측하는 등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 고 하면서 “ 우리나라도 디지털 전환에 맞추어 ICT, LoT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유기농업 신기술 개발과 턴소중립을 연계함으로써 저탄소 구조로의 농정 전환을 지향해야 하며, 끊임없는 유기농업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현장에서의 기술 보급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기농업 기반 그린이코노미 활성화를 위한 과제 란 주제로 열린 2부에서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유기농업 기반 그린이코너미 활성화를 위한 과제 란 주제발표를 통해 그린 이코노미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농업 기술을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친환경농산물 생산, 유통 측면에서 친환경농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기홍 한국유기농업연구소 부소장은 홍성군 유기농업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례 발표에서 “ 유기농 가치 정립, 유기농 실천 확대, 유기농업 통합 지원 등 앞으로 해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
윤명만 한경대 교수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감축 방안 및 제언, 유영섭 (주) KEC 시스템 기술연구소 장은 가축분뇨 에너지화 추진 기술 발전 방향, 허재영 전북대 교수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제어기반 기술과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사례 등의 각각의 주제발표를 했다.
(농업환경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