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아이들의 3월 정상 등교 차질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로 인해 학교급식 운영에 큰 문제가 발생해 친환경농산물 계약재배 농민들과 관련업계의 많은 어려움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친환경농업협회는 지난 24일 이와 관련 성명서를 발표하고, 새학기 등교 방침 변경에 따른 발생하는 친환경 농가들에 대한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친환경농업협회는 ” 학교급식이 전체 친환경농산물 소비의 40% 정도가 소비되는 상황에서 2020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학교급식 중단과 취소는 친환경농업인들에게 누적된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하면서 ” 급식이 언제 정상화될지 몰라 판매처를 찾지 못하는 힘든 상황이 계속되어 왔지만, 우리 친환경 농가들은 급식 재개 시 아이들에게 좋은 농산물을 먹어야 한다는 책임을 다하기 위해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협회는 특히 ”수차례 학교급식 중단 시 일방적으로 생산농가와 공급업체에 피해가 전가되는 현 급식 시스템의 개선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했으나, 어떠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 “고 지적하면서 ” 학교급식을 일방적으로 중단하면 고스란히 그 피해를 농가가 떠안는 불공정한 관행에 대한 해결방안을 계속 요구하였지만 정부는 어떠한 노력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강용 친환경농업협회 의장은 ” 한번 무너지면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 친환경농업이기에 지금이라도 피해 대책을 마련하고 급식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며 ” 이미 세워진 학교급식 예산을 활용하여 친환경농가를 지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교육부와 교육청의 무책임한 행태를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 수급불안정이 발생할 시 관련 예산을 적극 활용하여 친환경식재료 꾸러미를 가정에 공급하고, 다양한 유통경로 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기업에게 상생꾸러미를 공급하고 홈쇼핑, 판매 플랫폼 업체 등과 연계하는 방안, 그리고 이에 따른 과감한 재정 투입 방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하면서 ”정부와 교육청의 의지만 확고하다면 분명히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농업환경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