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하 농관원) 시험연구소(소장 송지숙)는 농관원이 관리하는 사료시험검사기관 (17개소)과 사료검정기관(2개소), 총 19개소가 국내외에서 실시하는 사료의 품질 · 안전에 대한 검정능력평가에서 전 기관이 모두 ‘적합’으로 평가받아 분석능력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사료시험검사기관은 「사료관리법」 제20조의 2에 따라 사료의 자가품질검사를 위하여 사료검정을 할 수 있도록 농관원이 인정한 기관이다. 사료검정기관은 사료관리법 제22조에 의해 농관원, 시 · 도에서 사료검사를 목적으로 검정 의뢰한 시료에 대해 사료 검정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농관원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나면서, 소비자는 반려동물사료가 식품수준으로 안전하게 관리되길 요구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5년간 수출물량이 약 2.4배 증가하면서 수입국은 국제공인 검정성적서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이에 발맞추어 시험연구소는 사료시험검사 · 검정기관 (이하 시험기관)이 국제 공신력을 확보하도록 검사원 교육 및 기관 방문 점검을 통해 전문기술을 배양하고 국제 숙련도평가로 검정능력을 관리하고 있다.
그 결과, 2024년도에 19개 시험기관이 총 87회 ( 일반성분 16, 곰팡이독소 10, 무기물 16, 미생물 24, 잔류농약 7, 동물용의약품 4, 보조제 10) 국내외 숙련도 평가 프로그램 ( 미국사료검사관협회(AAFCO), 영국식품환경연구청(FAPAS), 영국 화학 및 바이오 분야 국가측정표준기관(LGC), 프랑스 국제숙련도시험운영기관(BIPEA), 식품의약품안전처) 에 참여하여 모두‘적합’으로 평가받았다. 이는 국내 생산·유통되는 사료의 품질과 안전이 국제적 수준으로 관리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시험연구소가 개발하고 고시한 사료표준분석방법 ( 잔류농약(글리포세이트 등 37종), 동물용의약품(설파디아진 등 9종), 곰팡이독소(총 아플라톡신 등 7종) 등으로 숙련도 평가에 참가하고 있어, 국내 분석 지침 또한 글로벌 수준임을 검증한 것이다.
시험연구소 송지숙 소장은 “ 2026년 6월에 반려동물 사료에 특화된 표시기준이 시행될 예정이므로 반려동물 사료의 품질과 안전을 담당하는 시험기관의 역할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 며,“올해도 국제적 수준의 검정체계를 유지하도록 현장교육과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