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술/산업

가을 재배 감자 심을 때, 씨감자 자르지 말고 통째로

- 가을 감자 출현율 및 수량성 높이려면, 통 씨감자 심을 것

- 잠자는 기간(휴면기간) 짧은 ‘은선’, ‘금선’ 품종 권장

  올가을 감자 재배 의향 면적은 전년 대비 4.7%, 평년 대비 1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가을에 재배하는 감자(가을감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씨감자를 절단하지 말고 통감자 그대로 싹을 틔운 뒤 심을 것을 당부했다. 농업관측센터에 따르면 가을 재배 감자 심는 시기는  중부지방(8월 상∼중순), 남부지방(8월 중∼하순) 이다.

 

 가을감자는 8월 중 · 하순 늦장마가 오는 고온 · 다습한 시기에 심는다. 이에 따라 씨감자가 부패하기 쉽고, 봄 재배 감자처럼 씨감자를 절단해 심으면 절단면을 통해 세균이 감염돼 감자가 썩기도 한다. 장마 후 땅이 많이 습한 상태라면 물길을 정비하고 물 빠짐을 철저히 관리해 흙이 적당히 말랐을 때 감자를 심는다. 

 

 씨감자를 절단하지 않고 통감자 그대로 심으면 싹틔우는 동안 거의 부패하지 않고 출현율도 약 97%로 높아진다. 또한 절단 씨감자보다 수확량이 헥타르(ha)당 8톤가량 많아진다.

 

가을감자를 심을 때에는 통 씨감자를 심은 뒤 흙으로 충분히 덮어줘야 해가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지온 상승과 건조, 폭우로부터 씨감자를 보호할 수 있다. 씨감자로는 휴면기간이 짧은 품종 가운데 6월 중순 이전에 수확한 30∼60g 크기의 봄 재배 감자를 쓴다. 이런 씨감자를 심으면 휴면상태가 충분히 깨어져 높은 출현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10∼20g 크기의 통 씨감자는 싹 트는 비율이 26%, 총수량이 11.6톤으로 낮았지만, 30∼60g 크기의 통감자는 각각 53~63%, 약 23톤으로 2배가량 높았다. 

 

가을감자는 다른 시기에 재배한 감자보다 자라는 기간이 짧아 반드시 싹을 틔워 땅에 심은 뒤 싹이 빠르게 지표면 위로 올라오게 해야 한다. 이때 씨감자의 휴면상태가 충분히 깨지지 않았다면 싹이 늦게 터 초기 출현율이 낮고, 재배기간이 충분하지 않아 수확량이 떨어진다. 

 

휴면기간이 짧아 따로 잠 깨우기 없이 가을에 재배할 수 있는 품종으로는 ‘은선’, ‘금선’ , ‘금나루’ 등을 들 수 있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조지홍 소장은 “농가에서는 이모작으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가을감자를 선호하지만, 부패 등의 문제로 재배를 꺼리고 있다.”며 “파종기 8월 고온과 장마에도 썩지 않고 싹이 잘 나게 하려면 씨감자를 통째로 심어야 한다.”고 말했다.   

                                                         < 절단하지 않은 통 감자 >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