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선진제공 : 생산성 극복 프로젝트]](http://www.agemnews.co.kr/data/photos/20230416/art_16821816144002_15d860.jpg)
선진 사료영업본부(본부장 김승규)는 2023년 낙농사료 특별처방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최고 기온이 25도 안팎을 기록하는 등 이상고온 현상을 보이며, 2023년 하절기 평균온도 역시 예년과 비교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열대 기후화 되고 있는 한반도의 여름 날씨는 축산업계에서 반가운 일이 아니다. 낙농가는 여름철 생산성 하락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착유우의 건강 관리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선진 축우기술혁신센터의 ‘착유우 생산성 분석’에 따르면 2020년부터 현재까지 하절기 유량 생산의 하락폭은 점점 커졌다. 이에 비해 생산량의 회복은 하락폭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환율로 인해 해외 의존도가 높은 원자재의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면서 조사료의 품질 변화가 일어난 것이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조사료의 품질 변화는 반추위 안정성을 떨어뜨려 유지방 및 유량 감소로 이어져 목장의 수익성 관리를 어렵게 한다.
선진은 국내 낙농가의 이와 같은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해 6개월간 ‘하절기 생산성 극복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선진 사료의 특별처방을 통해 이뤄질 계획이다. 기호성을 강화한 특별 처방 사료를 바탕으로 여름철 착유우의 건물 섭취량과 영양소 이용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착유우의 하절기 유지방과 유량 감소를 예방하여 낙농가의 하절기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다.
선진 사료마케팅실 유철중 낙농PM은 “선진은 어려운 시기를 고객목장과 함께 타파해 국내 낙농업이 성장하는 발걸음에 든든한 동반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