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 힘 정운천 국회의원과 농어업상생발전포럼이 주최하고, 한국농식품융합연구원이 주관한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 혁신을 위한 축산정책의 과제 ’ 토론회가 지난 5일 국회의원회관 제 6 간담회실에서 열렸다.
지난 6월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공정과 상식 사회 실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의 농정개혁 과제’ 토론회에 이어 3번째로 열린 농어업상생발전포럼 토론회에서는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 혁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됐으며, 향후 어떻게 정책화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열띤 토론이 있었다.
정운천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 탄소 중립이 목표인 시대에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은 필수임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정립되지 못한 채 아직도 ‘과제’로 머물러 있다”고 하면서 “업체들이 기술을 개발해도 현실적으로 성과를 내는 것이 쉽지 않은 만큼 새 정부의 역할과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토론회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 첫 발제자로 나선 남광수 축산환경관리원 자원이용부장은 ‘가축분뇨 자원화 현황 및 사업다각화 현황’란 주제를 통해 “ 가축분뇨 자원화 현황, 가축분뇨 처리동향, 가축분뇨 처리 다각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어 정상옥 ㈜나노텍세라믹스 대표는 ‘액비 없는 자연순환 축분처리 솔루션’을 주제로, 김영규 ㈜평강비아이엠 소장은 ‘SP미생물과 가축분뇨 정화 처리 적용’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김성민 한국농식품융합연구원 이사장 (연세대학교 교수)의 좌장으로 진행한 종합토론회에서 김완주 세민환경에너지 대표는 ” 가축분뇨를 단순히 처리하는 오염물질의 개념에서 지역내 자체 에너지 공급과 식량생산을 위한 비료를 만드는 원료의 개념으로 국가적인 이용방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김태연 단국대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가축분뇨 자원화를 통한 유기질비료와 에너지 생산, 수질오염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제고하는 방안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 민간업체 개발 기술의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과, 대학과 민간업체의 협력을 통한 혁신기술 개발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종원 상지대학교 교수는 ” 잉여가축분뇨 처리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의 미래성장 산업화 정책과 비용과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기술의 보급이 필요하다“며 ”축산업의 탄소중립 정책은 축산업 개별 기술별 배출계수 정책보다 전 과정 평가에서 탄소중립정책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승헌 한국농어촌공사 환경사업부장은 ”자원순환적 가축분뇨의 기술과 정책의 방향은 경지를 고려한 사육두수의 조절 및 지역적 분산이 필요하다“며 ” 개발된 기술은 대체기술과 경쟁력이 있어야 하며, 많은 요수기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조현경 농협경제연구소 부연구위원은 ” 기축분뇨 기술개발의 초기단계이므로 경제성과는 별개로 다양한 자원화기술이 개발될 수 있도록 R&D 지원과 동시에 국내 축산분야의 여건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구상이 필요하다“ 며 ”가축분뇨의 에너지화로 생산되는 열, 전기, 가스에 대해 인센티브 제도를 다양하게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정경석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 정부에서는 기존 퇴액비화 중심의 자원화정책을 재평가하고, 축종별 지역별 양분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축분뇨 처리방식을 다양화 해 나갈 계획이다“며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분뇨의 다양한 처리방식은 힘든 과제가 될 수도 있지만, 축산업의 혁신과 신사업 창출의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