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술/산업

사과 재배, 디지털 기술 적용 첫발 뗐다

- 무인 자동 약제살포 체계 개발, 가지치기․꽃따기 등 기계화 실증 -

 

 최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으로 온실의 작물을 재배하는 디지털 농업이 확산하는 가운데 노지에 있는 사과 과수원에도 디지털 농업 기술 적용이 첫발을 뗐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가지치기와 꽃따기, 약제 방제 등 사과 생산 과정에 자동화, 기계화 기술을 접목하고 재배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 (2021년 기준, 3만 4,359헥타르)하는 과수작목이다. 한 해 생산량은 51만 5천 톤에 이르고, 연간 생산액은 약 1조 1천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가지치기와 꽃따기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모든 농작업을 사람 손에 의존하고 있어 경영비가 많이 들고 대외 경쟁력이 낮다.  여기에 사과 주산지 대부분은 인구가 적고 고령화로 노동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가지치기는 나무 자람새 관리를 위해, 꽃따기와 열매솎기는 열매 자람을 위해, 잎솎기는 색이 잘 들게 하기 위해 꼭 실시하는 작업이다.

 

농촌진흥청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시험 재배지(경북 군위)를 중심으로 3단계에 걸쳐 자동화, 기계화에 기반한 디지털 사과 과수원을 연구 중이다. 그 첫 단추로 △ 무인으로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 가지치기와 꽃따기 기계화 기술의 실증을 마쳤다.

무인 약제살포 시스템은 약제를 희석하는 통, 나무 아래 지면을 따라 약액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관, 고압으로 약제를 뿌리는 관 (노즐), 배관에 약제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고압 공기 펌프, 그리고 기기를 조작하는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농업인은 과수원에 발을 들여놓지 않고도 집이나 과수원 외곽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의 고속 분무기(SS기(Speed Sprayer))로는 1헥타르(ha)를 방제하는 데 평균 3~4시간이 걸렸지만, 무인 자동 약제살포 장치로는 20∼30분 만에 전면 방제가 가능해 방제 시간을 약 8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었다.

 

또한, 기존 고속 분무기는 농업인이 비옷 등을 입은 상태에서 농약에 노출된 채 운전하며 방제해야 하지만, 새 장치는 무인으로 구동돼 중독사고와 안전사고 위험에서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가지치기와 꽃따기, 잎 솎기 등의 기계화 기술도 실증을 마쳤다. 이는 각각의 목적에 맞는 농작업 기계를 별도 트랙터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나무의 축(큰 줄기)이 2개가 되게 하고 나무 모양도 기존의 넓은 원뿔형이 아닌 매우 좁은 원뿔형으로 바꿔 트랙터 이동이 쉽고 기계 작업이 수월하도록 했다.

연구에 사용한 트랙터는 아직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해외(이탈리아, 독일)에서 도입해 활용한다.

 

보통 겨울철 가지치기는 1헥타르 면적에서 7년생 이상 큰 나무(성목) 기준으로 약 340시간(약 43일), 봄철 꽃과 열매솎기에는 약 506시간(63일)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계를 이용하면 동일 면적에서 각각의 작업을 4시간씩 총 8시간으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우리나라 사과 산업은 고령화와 일손 부족 같은 사회 환경적 변화로 기반이 약화 되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이런 변화에 앞선 대응으로 기계화, 자동화, 정보화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지속 가능한 사과 산업의 활로를 찾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부터 지금까지의 연구에 더해 무인 자동 약제살포 장치를 활용해 개화기 서리․냉해를 줄일 수 있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한, 기계를 이용한 가지치기와 꽃따기, 잎 솎기가 열매 품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신기술 보급사업 등을 통해 2025년까지 농가 보급형 미래형 디지털 사과 과수원을 20곳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지원 원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기계화·자동화·정보화를 통해 사과산업이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하도록 준비하겠다.”며 “ 이번에 소개한 기술뿐 아니라, 발아·개화·만개 시기를 예측하는 생육모델링을 시작으로 봄철 서리·냉해 피해 예방, 여름철 더위 피해 예방 등 앞선 기술이 현장에 신속하게 정착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신성장 식품산업 안전관리방안 마련 필요”
코로나19 발생 이후 간편식(밀키트), 대체식품 등 기존에 없던 식품군 등장과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로 식품소비 패턴이 온라인 농식품 배송, 외식로봇, 외식 배달 · 테이크아웃, 무인 식품매장 등으로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농식품 안전관리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관리실태를 진단하고 산업성장과 조화를 이루는 안전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이 이같은 내용의 ‘포스트코로나시대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응과제’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연구를 진행한 박미성 연구위원은 “ 소비자들은 기존에는 없던 식품군과 거래방식을 접하면서 먹거리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를 가질 수 있다”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시장 변화 상황에서 신성장 식품산업의 안전이슈와 안전관리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식품시장 변화에 대응한 농식품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간편식(밀키트), 신소재·신식품(대

기술/산업

더보기
과수농가, 개화기 저온·서리 대비 철저…피해경감 시설 적극 활용해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전국 과수농가를 대상으로 개화기 때 발생하는 이상저온과 서리로 인한 냉해를 최소화하도록 사전 대비 관리를 강화해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 내 지역 기상 정보 파악, 과거 이상저온 발생 정보 확인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 생육·품질 관리 시스템 (fruit.nihhs.go.kr)’ 누리집에서 지역별 최저 · 최고 기온 정보를 기준으로 이상기상 범위 정보를 5단계 ( 표준, 경계고온, 경계저온, 이상고온, 이상저온 )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9일 이후의 예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저온 피해가 우려되는 농가에서는 이전 같은 기간의 기온 정보를 찾아보고, 이상기온 경고가 연속 2일 발생했다면 사전에 철저히 대비한다. △저온·서리 피해경감 시설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점검= 봄철 저온 발생이 잦은 지역의 과수원에서는 미세 살수장치, 방상팬 등 피해경감 시설 점검을 마쳐야 한다. 연소 자재를 태워 과수원 내부 온도를 높이는 연소법을 활용할 농가에서는 미리 연소 자재를 준비하고, 화재 예방 안전 관리 요령을 충분히 익힌다. △저온 대비 배, 사과 인공수분 요령 미리 숙지= 배꽃이 핀 시기에 저온 경보가 발령하거나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