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와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토양은 거대한 탄소흡수기' 란 카드 뉴스를 제시했다. 이 뉴스에서는 " 가후변화의 대응책으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정부에서도 산림, 갯벌, 습지 등 자연 생태기반 솔류션 강화로 탄소흡수 능력을 높여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것" 이라며 '건강한 흙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 할 수 있다" 는 사실을 강조했다 특히, " 우리는 흙을 이용하여 어떻게 탄소중립을 할 수 있을까요? 바로 탄소농사, 즉 탄소를 흡수한 식물체가 비료가 되어 토양 안에 갇히게 되면 전체 대기 중 탄소 총량이 저감되는 원리이다 " 고 설명하면서 " 화학비료의 사용을 지양하는 친환경 농사법은 턴소저장에 유리하며' 우리가 먹는 친환경농산물이 탄소중립까지 실현시켜 지구를 지킬 수 있다는 사실, 우리 모두 친환경농산물도 먹고 가후도 지켜보세요 !"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자료제공: 환경부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친환경인증제도를 한눈에 쏙 알 수 있는 리플렛이 나왔다.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관리 정보시스템은 최근 소비자와 생산자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친환경인증제도를 한눈에 쏙 리플렛’을 제작, 홍보하고 있다. 동 자료에 따르면 친환경인증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가공식품, 무농약 원료가공식품, 비식용유기가공품(유기사료), 취급자 인증을 포괄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는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여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구하고 철저한 인증관리로 생산사와 소비자를 함께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이다. 리플렛에는 유기농산물 인증과 무농약인증 외에 100% 유기사료 급여하고 항생제, 호르몬제 사용 NO 유기 축산물 인증과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은 축산법이관(‘20.8.28)되어, 친환경인증에서 제외 된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8월28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유기농축산물을 95% 이상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과 무농약인증과 유기인증을 받은 원료를 100%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무농약원료가공식품 인증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유기농축산물을 원료로 하여 유전자변형생물체 유리물질(GMO).합성화학물 등 금지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적인 방법
자료제공: 친환경농산물 의무자조금 관리위원회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