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농업 · 농촌 워케이션’ 관련 온라인 데이터를 ‘일’과 ‘휴양’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일’보다는 ‘휴양’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 워케이션’은 단순한 체류형 프로그램을 넘어 ‘휴식형 일상 플랫폼’이자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원장 윤동진, 이하 농정원)이 ‘농업 · 농촌과 워케이션’을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를 담은 이같은 내용의 ‘FATI (Farm Trend&Issue)’ 제 24호 보고서를 발표했다.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개념인 ‘워케이션(Workation)’은 2021년부터 정부와 지자체 정책에 도입되며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다. 특히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에 직면한 농촌 지역에서는 ‘생활인구’와 ‘관광객’을 동시에 유입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이번 보고서에서는 워케이션의 사회적 가치와 기능을 비롯해, 참여자들이 기대하는 주요 요소들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최근 5년간 ‘농업 · 농촌 워케이션’ 관련 온라인 데이터를 ‘일’과 ‘휴양’의 관점에서 6개 분야 (▲시설/인프라, ▲환경/접근성, ▲관광/여행, ▲체험/교육, ▲소비/축제, ▲테마/휴식)로 나누어 언급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일’보다는 ‘휴양’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온라인 언급 비중은 ▲‘관광/여행’이 전체의 29%, ▲‘테마/휴식’(26%), ▲‘체험/교육’(25%)이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테마/휴식’ 분야에 대한 관심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소비/축제’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 언급에서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제주’ 지역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농촌 워케이션’ 관련 언급 키워드 분석 결과, 공급자인 정부와 지자체는 워케이션을 ‘사업’의 관점에서, 수요자인 참여자들은 ‘생활 및 일상’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정부 및 지자체의 경우, ▲‘사업’, ▲‘조성’, ▲‘운영’, ▲‘계획’, ▲‘프로그램’ 등 정책 및 운영 중심의 키워드가 높은 언급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참여자들은 ▲‘숙소’, ▲‘방법’, ▲‘주소’, ▲‘맛집‘, ▲’후기’ 등 실제 체험 및 이용 정보를 중심으로 한 키워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커피’, ▲‘산책’, ▲‘아침’과 같은 일상 관련 키워드와 ▲‘객실’, ▲‘노트북’, ▲‘와이파이’ 등 업무 환경에 대한 관련 언급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온라인상에서 ‘농업·농촌 워케이션’ 관련 게시글을 참여 희망자와 실제 농촌 거주자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여유’와 ‘힐링’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났다.
실제 농촌 거주자의 게시글에서는, 청년들이 워케이션을 통해 여유와 힐링, 치유의 가치를 경험하고, 이를 계기로 지역과의 중장기적 관계 형성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확인됐다.
한편, 워케이션을 실제로 경험했거나 참여를 희망하는 이들은 ▲‘힐링 및 휴가’(24%), ▲‘숙소 및 자연’(20%) 등 휴식 중심의 요소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업무와 병행하는 체류 방식의 특성상 ▲‘근무환경’(21%)에 대한 고려 역시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농촌 워케이션’은 단순한 체류형 프로그램을 넘어 ‘휴식형 일상 플랫폼’이자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생애 주기별 맞춤형 농촌 워케이션 도입은 청년 · 가족 · 은퇴세대 등 다양한 계층의 유입을 가능하게 해,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전략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체류 경험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여, 정보 공유와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정보 생태계 조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농정원 윤동진 원장은 “ 워케이션은 이제 단순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우리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지역 상생 모델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분석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농정원이 발행하는 농업·농촌 이슈·트렌드 보고서 ‘FATI(Farm Trend&Issue)’ 24호에 담았으며, 농정원 홈페이지(www.epis.or.kr) 자료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