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송미령)는 한식진흥원 (이사장 이규민), 한국식품연구원 (원장 백현동)과 함께 10월 29일 (수)부터 11월 1일(토)까지 4일간, 경주 APEC 정상회의장 인근에 조성된 K (케이)-푸드 스테이션에서 특별한 케이(K)-디저트 및 수출용 할랄식품 홍보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APEC 정상회의에 참가하는 대표단 및 미디어 관계자 등에게 한국의 길거리 간식과 전통 다과의 매력을 선사하고, 한식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경험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장 내에 설치된 푸드트럭에서는 'Taste of Korea, K-Dessert'를 주제로 전통의 가치와 현대적 감각을 담은 케이(K)-디저트를 선보이며, 한식 문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호감도를 한층 높일 예정이다.
한국 길거리 간식의 대표주자인 호떡을 즉석에서 조리해 따뜻하게 제공하고, 최근 SNS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약과를 비롯해, 부드럽고 쫄깃한 증편(술떡), 바삭한 유과 등 다채로운 전통 다과를 시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특히, 한국의 귀한 식재료인 인삼을 활용한 인삼편정과 등 이색적인 메뉴도 함께 선보여 한국 전통 다과의 우수성을 알릴 예정이다.
또한, 13개 기업의 라면, 김치, 쌀가공식품, 음료 등 수출용 할랄인증 제품 90여 종이 소개된다. 라면, 음료 등 일부 제품은 현장에서 증정용으로도 제공되어, 다양한 국가의 참가자들에게 수출용 할랄식품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K(케이)-푸드 스테이션에는 농식품부를 비롯해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에서 공식 협찬사로 선정한 식품기업들이 참여하여, 라면, 떡볶이, 치킨, 곰탕 등 다양한 한식을 선보일 예정이다.
송미령 장관은 " 이번 APEC 정상회의는 한국의 문화와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며, " K(케이)-푸드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은 만큼, 이번 K(케이)-디저트 및 수출용 할랄식품 홍보 행사가 회의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Taste of Korea'를 선물하고, 한국의 음식과 문화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PEC 정상회의 속 ‘경북 K-푸드’, 세계를 향해 한 걸음 더
aT·경상북도, ‘2025 APEC 정상회의 K-경북푸드 홍보관’ 운영으로 K-푸드 진출 교두보 마련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사장 홍문표)는 경상북도 (도지사 이철우), 경북문화재단 (대표이사 김재수)과 함께 2025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경북 K-푸드 홍보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홍보관은 10월 20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 APEC 경제전시장 내 ‘ 강소기업 Zone’에서 운영된다. 21개 회원국 정상과 각료, 기업인, 언론인 등 주요 인사가 방문하는 국제행사에 맞춰, 지역 농식품의 수출 경쟁력과 한류 기반 K-푸드의 글로벌 확산 가능성을 집중 홍보한다.
홍보관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경북 K-푸드’를 주제로 ▲전통주 Zone ▲수출 농식품 Zone ▲신선농산물 Zone(Daily Zone) ▲가공식품 Zone 등 4개의 구역으로 구성된다.
전통주 구역에서는 안동소주 등 증류주와 약주, 탁주, 와인 등 지역 전통주를 전시하며, 수출 농식품 구역은 냉동김밥 · 라면 · 떡볶이 등 K-분식 제품을 소개한다. 신선 농산물 구역에서는 포도·사과·참외 등 대표 과일을 산지 직송으로 선보이며, 가공식품 구역은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쌀가공품·장류·인삼제품 등을 통해 K-푸드의 폭넓은 가능성을 강조한다.
특히, 관람객은 이 곳에서 시음·시식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K-푸드를 체험할 수 있다. 경북 안동 전통 소주를 맛본 외국인 참가자는 “전통적인 제조법을 고수한 소주라서 그런지 깊고 풍부한 맛이 인상적”이라며, “앞으로도 K-푸드가 더 많은 주목을 받을 것 같다”고 말했다.
행사 중에는 한글·영문 안내문과 상시 상영되는 홍보 영상을 통해 제품 스토리와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고, 국가무형문화재와 식품명인을 초청해 전통 식문화 시연과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홍문표 aT 사장은 “이번 APEC 정상회의는 K-푸드가 세계 무대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전통과 혁신이 조화를 이룬 K-푸드를 통해 우리 농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농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