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건강/먹거리

내게 맞는 다이어트, 유전자 특성 고려해야

- 비만 유형별 유전자 특성에 따른 맞춤형 식단 가능성 제시 -

 

 한국식품연구원 (원장 백현동, 이하 식품연)은 국내 최초로 비만인을 일반 비만 (BMI 기준)과 복부 비만 (허리-엉덩이 둘레비 기준)으로 구분하고, 두 비만 유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각 비만 유형별의 식습관 연관성을 통합 분석했다고 밝혔다.

 

식품연에 따르면 비만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비만 관리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만은 주로 일반 비만과 복부 비만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비만 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 비만 연구는 각 유형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쳐, 두 유형의 유전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규명한 연구는 미흡했다. 또한 생활습관에 따라 달라지는 유전자 패턴 변화와 개인의 식습관이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한 연구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과 식습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비만 유형별 비교 연구가 필요했다.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사업 (KoGES) 참여자 1,526명의 혈액 DNA를 분석한 결과, 일반 비만과 관련된 20개, 복부 비만과 관련된 23개의 유전자 패턴 변화를 발견했으며, 이 중 4개 유전자는 두 비만 유형 모두와 연관성을 보였다.

 

각 비만 유형별 유전자와 식이 섭취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비만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식품이 비만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비만의 경우 SENP7 유전자가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 섭취와 관련되어 일반 비만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복부 비만에서는 RNF220, PCDH9 유전자는 육류 섭취와, TM4SF1 유전자는 버섯류 섭취와, GALNTL6 유전자는 고등어 · 오징어 같은 수산물 섭취와 각각 연관되어 복부 비만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두 비만 유형 공통으로는 HTR2A, PDZD2 유전자가 저탄수화물 섭취와 연관되어 비만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비만 유형에 따라 맞춤형 식품을 과학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획일적인 식단 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별 유전자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밀한 영양 관리가 가능해진 것이다.

 

일반 비만과 복부 비만이 서로 다른 유전자 조절 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비만 유형별 식습관과 유전자 변화 연관성에 기반한 개인 맞춤 관리 전략을 제시한 이번 연구는 다학제 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

 

식품연 박재호 박사는 "이번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비만 관련 유전자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며, "향후, 특정 식습관이 유전자 변화를 통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비만 유형별 개인 맞춤 관리 전략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기자)



생태/환경

더보기

건강/먹거리

더보기

기술/산업

더보기
다홍빛 물든 영양 고추특구, 생산량 3.7배 증가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1일 ' 농업대전환 특화작목특구인 영양 고추특구 평가회'를 열고, 영양 고추특구가 목표 생산량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며 고추 재배의 틀을 바꾸는 표준모델로 자리잡고 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전국 고추 생산량의 점유하고 있는 최대 산지이며, 특히 영양군은 재배면적 1,321ha, 생산량 3,700톤으로 군민의 (1,807세대)가 고추 농사에 종사하는 주산시군이다. 그러나 고추는 여름철 고온성작물로 기존의 노지재배에서는 강우로 인한 탄저병·역병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육묘기 칼라병 감염에 따른 품질 저하와 수량 감소 문제가 지속돼 왔다. 고추 칼라병은 잎과 과실에 알록달록한 무늬, 반점 또는 변색이 나타나, 심할 경우 잎이 말리거나 과실이 기형적으로 변형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이에 영양 고추 특구는 지난해부터 청년이 주축이 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기 위해 영양고추연구소에서 개발한 고깔형하우스와 칼라병 종합방제체계를 도입했다. 먼저, 고깔형하우스는 자동개폐 고깔천장을 통해 여름철 하우스 내부 온도를 일반하우스 대비 5~8℃ 낮게 유지해 고온 피해를 줄이고, 강우로 인한 탄저병과 역병을 감소시켜 안정적 생육 관리와 작기 연장으로 생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