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6℃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2.9℃
  • 구름많음대전 9.6℃
  • 박무대구 7.9℃
  • 구름많음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12.1℃
  • 맑음부산 15.8℃
  • 구름많음고창 10.6℃
  • 구름많음제주 17.7℃
  • 흐림강화 10.9℃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6.6℃
  • 구름많음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6.1℃
  • 흐림거제 16.8℃
기상청 제공

정책

프랑스, 유기농업 육성 정책지원... 성과 커

- 유기농경지 면적 비중, 유기농산물 생산자 수‘10년 대비 3배 이상 증가-
- 유기농 식품 시장 규모 3.6배 성장 성과 이뤄내-
- 국회도서관,『현안, 외국에선?』(2023-22호, 통권 제72호) 발간 -

 

 환경보전, 탄소중립 등의 공익적 가치를 갖는 유기농업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경제적 규모가 점차 커지는 가운데, 프랑스가 유기농업 확산을 위해 유기농업 전환 지원을 위한 보조금 제도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유기농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

 

 최근 국회도서관(관장 이명우)이 발간한 「프랑스의 유기농업 육성정책 추진 현황」을 다룬 『현안, 외국에선?』(2023-22호, 통권 제72호)에 따르면 프랑스는 1998년부터 유기농업 육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을 수립해 왔다. 특히 2008년부터 추진된 ‘유기농업 Horizon 2012’와 그 뒤를 이은 제1차 및 제2차 ‘유기농업발전계획’이 2010년 이후 프랑스 유기농업이 획기적으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프랑스의 유기농업 육성정책 (2008년~2022년)은 전체 농지에서 유기농 경지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중과 단체급식의 유기농 식자재 비중에 대한 정량적 목표를 단계별로 제시하고, 농업부 주도로 공공기관, 지자체, 직능단체, 이해관계자 등의 광범위한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시행됐다.

 

특히, 유기농업 전환 지원을 위한 보조금 제도, 유기농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유기농미래기금(Fonds Avenir Bio), 유기농업진흥청(Agence Bio) 중심으로 유기농 식품 소비 촉진을 위한 홍보, 농업연구기관을 통한 기술개발 촉진 등 프랑스는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며 유기농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했다.

 

그 결과 2022년 프랑스 유기농경지 면적 비중과 유기농산물 생산자 수가 2010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고, 유기농 식품 시장 규모가 3.6배 성장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최근에는 2027년까지 유기농경작면적 18% 확대라는 새로운 목표 아래 유기농업 보조금과 유기농미래기금 예산을 증액하는 등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고 있어 프랑스 유기농업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명우 국회도서관장은 “우리나라도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따라 2050년까지 ‘친환경농업 면적 30% 확대’를 목표로 상정한 시점에 농업 강국 프랑스가 지난 10년 동안 적극적인 육성정책으로 유기농 확산에 성공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강조하고, “우리나라도 탄소중립 이행 관점에서 친환경농업의 확산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이 보고서가 관련 입법과 정책 마련에 좋은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친환경농업  진영에서는 “  EU 국가 중 농업 강국인 프랑스가 환경보전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유기농업 활성화하에 박차를 가하는 정책은 우리에겐 시사하는 봐가 크다 ” 며 “ 정부가 친환경농업을 주류 농정으로 역점을 두고 정책을 펼쳐야 당초 제시한 유기농업 실천목표가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영농 태양광·햇빛 소득마을 사업, '속도 조절' 필요
정부가 농업인 소득 증대와 식량안보를 동시에 이를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과 햇빛 소득 마을에 대한 제도화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 사업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25년 한국농식품정책학회 제6차 농식품 정책 포럼이 지난 10월30일 (목) 15시~ 18시까지 용산역 광주 전 남북 비즈니스 라운지 회의실에서 '영농형 태양광을 활용한 농촌주민 소득증대방안 ' 주제로 개최한 행사에서 이같은 내용이 제시됐다. 이날 포럼에서 임송택 박사 ((주)에코네트워크)는 ’ 영농형 태양광 현황과 전망’ 이란 주제 발표에서 “ 농촌 태양광 사업은 농가소득 증진과 태양광 보급 확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지만 주로 외지 기업 주도로 추진되면서 농업인 등 지역주민의 반감과 민원 증가, 지역주민의 수용성 저하로 인해, 신 재생에너지 설비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고 진단하면서 “ 무분별한 농지 난개발, 농지침식 등을 방지하되, 태양광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현재 산재해 있는 여러 문제와 제약들을 해결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그에 따른 지원방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임송택 박사는 영농형 태양광의 주요 이슈 및 문제점에

건강/먹거리

더보기
“농촌 경로당 식사공백 해소” 농협경제지주, 반조리식품 지원사업 추진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 (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농촌 경로당의 식사 공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반조리식품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조리 인력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식사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 경로당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농협경제지주는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기여라는 본연의 역할을 목표로, 전국을 연결하는 공급망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반조리식품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반조리식품은 재료 손질이나 양념 준비가 필요 없어 조리 부담이적고, 고령층에서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농협경제지주는 지난 5월 14일 안정적인 반조리식품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고삼농협, 도드람양돈농협, 농협식품과「고령 친화형 간편 조리식 개발 및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지난 7월부터 고삼·담양·상주농협 관내 경로당 40개소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나주식곰탕 ▲대파 육개장 ▲간장 돼지 불고기 등 10분 내로 조리가 가능한 냉동 반조리식품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에는 23개소 경로당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설문에서 조리 편의성(매우 간편하다 95%,

기술/산업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