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국립생태원,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유출지 지역주민 참여 모니터링 실시

유전자변형 생물체 관리 ,국민적 공감대 형성
약 50여명이 참여하여 장항 송림 주변 자연정화 활동 실시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은 27일 서천군의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장항읍 송림 숲 주변과 지역 내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유출지에서 지역주민과 합동으로 자연정화 및 유전자변형생물체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올해 4번째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국가 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된 서천군 장항읍 송림 숲의 청정한 환경을 지키고, 지역 내 유전자변형생물체 유출지 모니터링을 통해 생태 안전 문화를 확산시키고자 약 50여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장항읍 송림 숲과 주변 해변의 미관을 저해하는 비닐, 플라스틱 제품, 노끈 등의 쓰레기 제거하는 등 자연정화 및 생태계 보전을 실천했다.  또한,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 및 생태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간이면역 검사 키트 사용법, 조사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고, 서천군 지역의 유전자변형생물체 국민참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태안전 관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립생태원 생태안전연구실은 국내 비의도적으로 유출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를 위해 유전자변형생물체 환경영향조사,  생물다양성 보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지속적인 이용에 미치는   위해 예방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행사는 공공기관으로서 지역 환경정화에 일조하고 국내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리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에도 국민과 함께 국가 생태안전을 지켜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유전자변형생물체(LMO, Living Modified Organism):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한 생명체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정책

더보기

생태/환경

더보기
토양 탄소저장 ‘글로말린’, 유기농경지 효과 확인
농촌진흥청은 유기 농경지의 토양 탄소 저장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 5개 권역 30여 지역 45개 농가를 대상으로 ‘글로말린’* 함량을 조사한다고 밝혔다. 글로말린(Glomalin)은 식물 뿌리와 공생하는 미생물 (내생균근균)의 균사와 포자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질의 일종으로 토양 입단화 (여러 토양입자가 모여 큰 떼알구조를 이루는 작용)로 물리성을 개선해 토양 내 탄소를 저장하는, 토양 탄소량의 약 30%가 글로말린에 의해 저장된다고 한다. 글로말린을 생성하는 균근균은 뿌리와 공생하는 특성이 있어 식물의 뿌리 구조를 유지하거나 토양 교란을 최소화하는 유기농업 기술과 관련성이 있다. 특히 토양의 입단형성과 토양구조를 안정화시켜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한번 생성되면 7-40년 동안 안정화된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토양 내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조사는 국내 유기 농경지 내 글로말린 함량을 조사하고, 탄소 저장 효과를 분석해 과학적으로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된다. 조사 항목은 ∆기상 요인(온‧습도) ∆재배 관리(토양관리, 작부체계 등) ∆글로말린 함량 ∆토양 이‧화학성(토성, 용적밀도, 토양 유기탄소 등)이다. 조사 대상지는 국내 유기농업 인증 밭

건강/먹거리

더보기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