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축산 농가들은 ASF와 코로나 19, 그리고 날로 심각해지는 축산환경 규제의 강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축산환경 전문가를 양성, 고객 농가 지원에 앞장서는 민간 축산기업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의 축산악취농가 1070 명을 선정하여 가축분뇨처리시설 등의 축산악취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 기업이 자발적으로 축산환경개선에 나서고 있어 양축농가들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주)카길애그리퓨리나(대표이사 박용순, / https://www.cargill.kr/ )는 지난 6월 19일, 축산 환경관리 전문가 과정 1기 수료식을 개최하고 축산 환경의 새로운 솔루션 제시와 고객 농가를 지원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고 밝혔다. 이날 수료식에서는 각 지역별로 판매 조직에서 특별히 선발된 1기 교육생들이 지난 8개월간 고객과 함께 만들어낸 분뇨처리 및 악취저감 우수사례와 향후 활동계획을 발표하여 다양한 성공의 경험을 공유하고 성적 우수자에 대한 표창을 통해 미래의 환경 솔루션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왕성한 노력을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모든 교육생들에게 고객 농가의 분뇨 처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의 A-벤처스로 ㈜더 플랜 잇 (대표 양재식, 이하 더 플랜잇)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A – 벤처스는 농식품 분야의 벤처·창업 붐 확산을 위해 농식품부가 매월 선정하는 우수한 벤처·창업 기업이다. 더 플랜 잇은 ’ 17년 3월에 창업하여 순식물성 대체식품을 개발 · 판매하는 식품기술(Food-tech) 새싹기업(스타트업)으로, 기업명(The PlantEat)은 ‘지구를 위해 식물을 섭취하자 (Eat Plants for the Planet)’라는 의미로, 국가·지역 간 영양 불균형을 순식물성 대체식품 개발을 통해 해결하려는 양재식 대표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더 플랜잇의 핵심 기술은 생명공학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빠르고 정교하게 순식물성 대체 원료를 개발·제조하는 것이다. 식물성 원료를 발굴하기 위해 설립한 기업부설 연구소에서는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하여 동·식물성 원료의 특성을 분자 수준까지 확보했다. 또한, 자체 개발한 분석체계(알고리즘), 모의실험(시뮬레이션)을 통해 원료 특성에 대한 방대한 자료(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물성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순식물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찾아냈다. 더 플랜잇의 대표상품인 ‘잇츠베러
(꽃송이버섯) 제주 자생생물인 꽃송이버섯의 피부활성 증진 효과를 이용한 제품화 성공 (이니스프리 꽃송이버섯 라인) (거문도 해풍쑥) 여수 특산품 해풍쑥의 진정보습 효능 활용 (쥐손이풀) 국립생물자원관과 공동연구로 쥐손이풀의 항염·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화장품 개발 추진(‘19~, 특허출원 완료)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6월 25일 오후 자생생물을 소재로 제품화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인 화장품 전문 연구개발·생산 전문업체인 코스맥스㈜ 연구소(경기도 성남시 소재)를 방문하여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자생생물의 소재화·제품화 지원에 대한 강화 의지를 밝혔다. 이날 방문은 올해 환경부에서 역점을 두어 추진 중인 녹색산업 혁신 정책의 하나로, 자생생물 소재를 연구개발·제품화하는 현장 사례를 확인하고 기업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난해 연매출 약 1조 3천억 원에 이르는 코스맥스㈜는 독자적인 기술개발로 생산한 화장품을 국내외 600여 개 브랜드에 공급하는 위탁 제작방식(ODM) 기업으로, 제주 자생 버섯인 꽃송이버섯을 활용한 화장품 개발에 성공하는 등 자생생물 소재의 제품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국립 생물자원관과 공동연구를 진행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