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농업, 유기농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024.01.19 16:03:07

- 2023년 한국유기농업학회 동계학술대회 성료 -

 2023년 한국유기농업학회 동계학술대회가 지난 19일 The K호텔 서울 에비뉴관 동강홀에서 ‘ 유기농업과 치유농업,  농장동물복지’ 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이날  최낙진 한국유기농업학회장 (전북대 동물자원학과 교수 )은  개회사에서  " 이번 학술대회는  유기농업과 치유농업, 그리고 농장동물복지‘ 라는 대 주제 하에 특별히 치유농업과 농장 동물 복지 실현을 통한 앞으로 유기농업의 적극적인 외연 확대와 확산을 도모하고자 마련했다” 며 "  앞으로 학회 차원에서 유기농업 확산을 위한 다양한 연구 및 대안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겠다" 고 밝혔다.

이어 기조 강연을 한 김태연 단국대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 유기농업확산’ 발표에서 “ 유기농업의 고비용 생산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안, 유기농산물의 가격인하 방안 개발, 유기농가의 가격 인하 방안 개발, 유기농가의 일정 수준 소득 보장, 유기농업에 대한 연구 지원, 환경친화적 농업의 확산 지원, 유기농업 수행 농가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참여 방안 마련, 유기농업 발전을 위한 민간의 자율적 활동 강화 지원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태연 교수는 특히 “ 유기농업인의 경제적 상황 개선과 유기농업의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기여 역할, 그리고 유기농업 기술혁신 필요성, 유기농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인력개발 체계 등을 맺은 말에서 강조했다. " 농민의 시장대응력 향상은 기본이며 보조금 지원(보완) 은 물론 환경장려금 지원이 필수라는 것. 과도한 유기물 투입의 문제를 개선하고, 유가농업을 통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영농방법도 농업현장에서 제시됨은 물론 , 기후변화에 따라 화학농약과 제초제를 대체하는 기술개발이 필수이다"고 밝혔다.

 

이어 진행한 사회과학분야 세션 1에서는 ‘ 치유농업을 통한 유기농업의 확산’ 이란 주제로 장정희 농촌진흥청 치유농업추진단장과 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치유농장 대표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장정희 단장은 ‘치유농업의 현황과 과제’ 발표에서 “ 치유농업은 국민의 건강회복 및 유지 ·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농업· 농촌 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 며 “ 건강한 국민과 활력 있는 농업· 농촌 이란 비전하에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 확산과 농촌 활력화를 위한 치유농업 사업모델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연구개발, 성과확산, 기반구축, 사업화 촉진 등 4개 분야 13대 과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장 단장은 앞으로 과제에 대해 “ 국민 신뢰도 구축 (우수 치유농업 시설 인증제 시행), 접근성 강화 (치유농장 수 확대), 복지사업과의 제도적 연계, 인지도 제고 등을 제시했으며 농촌 환경 · 식품· 동물 등 자원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치유농업 서비스의 사회 경제적 가치는 3조7천억으로 추산된다”고 언급했다. 제1차 종합계획(‘22~’26) 기간 중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따르면 (‘21.ILK) 생산유발효과 2,545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349억원, 고용유발효과 1,889 명으로 분석됐다" 고 덧붙였다.

송미나 드림뜰 힐링팜 치유농장 대표는 “ 정서, 신체, 건강관리, 사회적 재활, 교육 등 다양한 역할이 있는 치유농업은 유기농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며 “ 아동, 취약 계층 대상으로 비료나 농약을 많이 투입하는 농법으로 치유농업은 적절하지 않고 생태계를 보호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는 유기농업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대표는 “ 드림뜰 힐링 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으로 원예 치유, 동물교감 치유, 숲치유, 푸드테라피, 텃밭 정원, 화훼, 허브식물 등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고 설명했다.

이어 윤주이 단국대 환경자원경제학과 초빙교수의 좌장으로 진행한 종합토론에서 이병성 한국농어민신문 산업부장은 “치유농업의 전문성, 차별화된 운영체계, 세제혜택, 부실 치유농장 대책 등의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승규 경북대학교 교수는 “ 지역대학에 대한 역할 (거버넌 스), 비시장제 가치평가, 강사육성, 대학 평생 교육의 프로그램 역할 등을 강조했다.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 관행농업과 유기농업 비교 분석, 유기농 섭취를 통해 건강증진 등,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 사업단지와 치유농업 연계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승구 동국대 교수는 ” 치유농업은 농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범 정부차원에서 접근하고, 농촌활성화 차원에서 치유농업 접근, 치유농업으 경제성 강조보다 철학과 가치의 중요성이 중요하다“고 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김선옥 기자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편집인: 김선옥|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