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어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

2022.02.20 07:50:49

코로나 19 열풍... 더 심하기만 하니 삶의 고통

나날이 혼란스러운 외래어가 늘어나고 있다. 그 의미를 모르고 짐작삼아 일상생활을 하면서 곤혹스러움도 많다. 왜냐하면 코로나19 전염병(펜데믹)열풍은 2년이 경과 하여도 더 심하기만 하니 삶이 고통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일전에 10여 가지 언급을 한지 얼마 안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신조어가 남발(유행)함에 따라 그 용어를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1. 스마트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도시 경쟁력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혁신도시를 말한다.

 

2.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 인덕스펀드(한권의 책속에 수록된 중요한 내용들 중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해놓은 색인(목록)이라는 뜻. 즉 지수나 지표로 풀이 되는 수학적인 용어)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을 말한다.

 

3. 대체불가능토큰(NFT)Non-Fungible Token 시장은 이른바 ‘크립토 네이티브’가 주도하고 있다.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시장에 일찍부터 관심을 둬온 사람들이다. 주요 NFT기업 창업자와 NFT투자자는 대부분이언 크립토 네이티브다. 이들은 일반인에게는 암호 같은 자신들만의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NFT를 잘 이해하려면 크립토 네이티브의 언어로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중에서 디오(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가 있다. NFT시장엔 수백 개의 디오 조직이 활동해 '대 디오 시대' 라는 말까지 나온다. 디오는 탈중앙화 자률 조직이란 뜻이다.

그리고 건물이나 법인 대표자 없이 블록체인 기반‘스마트 계약’으로 운영된다. 뜻은 거창 하지만 쉽게 풀면 NFT에 공동 투자하는‘계모임’에 가깝다. 

십시일반 돈을 모아서 가치 있는 NFT를 구매하고 수익이 나면 공평하게 나눈 의미(뜻)다.

 

4. 팹리스(fabless)는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제조설비(fabrica-tion)‘없다’는 뜻의 접미사 (less)를 합성한 말이다. 

 

5.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Envivonment, Socid, Govemance) 기업이 직원과 고객 주주 환경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지배구조는 투명한지를 비 재무적인 틀로 따지는 평가를 말한다.(ESG채권 등)

 

6. RE100이란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필요 전력의 100%를 조달하자는 국제캠페인 (RE-100(Renewable Energy100%)을 말한다.

 

7. CF100-이란 탄소 배출 제로(Carbon Free)100%의 줄임말로 사용 전력의 전부를 무탄소 에너지로 공급하다는 뜻이다. (무탄소 에너지원 에는 풍력, 태양광, 수력 외에 원자력 발전도 포함된다.) 

 

8. 데카콘(DecaCom)은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약12조원)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으로 성공한 스타트업을 상징하는‘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몸값의 10배인 거대 스타트업을 뜻하는 말이다.

지난해 년말기준 데카콘에 등극한 기업은 총 30여개에 이른다. 2007년 미국의 페이스북이 사상 첫 데카콘에 오른 이후 지금까지 등장한 데카콘은 총 84개다.

지난 년말기준 벤처투자 규모가 사상 최대라고 한다. 또한 유니콘 기업도 가장 많은 7개사가 등장 했고 금년에도 기대이상 되기를 기대해본다.

따라서, 스타업들은 이제 산업계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모양새다. 다만, e커머스(전자상거래) 같은  B2C (기업소비자 간의 거래) 분야에 몰려 있는 현상은 향후 풀어야 할 과제다.

 

9. 언택트(Untact) 콘텍트(Contact;접촉하다)에서 부정의 의미인 (Un-)을 합성한 말로 기술의 발전을 통해 직원과 접촉 없이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새로운 소비경향을 의미 한다. 사람과의 접촉을 지양한다. 라는 의미로 비대면 비접촉 방식을 가리키는 신조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고, 외출 및 모임 등의 참여 자제와 재택근무 증가 등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그렇지만  기업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청년 고용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청년고용 기여도가 컸다. 

즉 생산성이 높은 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청년 일자리가 창출되는 현상에서 더욱더 기업이 활발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불합리한 장애물이 있다면 신속히 제거하고 개선하도록 하여 고용증대로 일자리 창출이 더 많이 되기를 간절히 기대해본다.  

 

(농업환경뉴스 =  정홍술 객원 기자)

기자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편집인: 김선옥|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