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원인 물질 분해하는 미생물 특허 출원, 축산악취 저감에 활용

  • 등록 2024.12.11 16:47:53
크게보기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악취성분을 저감하는 신규 미생물 축산 농가 등 현장 적용

 

  〈그림:  담수 유래 악취저감 미생물의 집락형태(좌) 및 전자현미경사진 (우)〉

 ◌ 분리된 세균의 집락은 노란색의 작은 원형이며,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간균형태로, 크기는 1.4 ~ 1.7 um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축산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신규 담수 미생물을 발견해 특허를 출원했으며, 축산 농가 등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2년부터 수행 중인 ‘담수미생물을 활용한 축산악취 저감 소재 개발’ 연구에서 축산폐수로부터 분리된 담수미생물이 축산환경에서 발생되는 악취 성분을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그림. 총 악취활성값 변화량〉

◌ 다중이온 선택형 질량분석기(SIFT-MS)를 이용해 65개의 악취물질의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대비 89% 총 악취활성값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 총 악취활성값: 악취활성값은 개별 악취물질의 농도를 해당 물질의 최소감지농도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총 악취활성값은 개별 악취물질의 악취활성값을 모두 합한 값을 의미한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발견한 브레비박테리움 미생물은 인위적으로 조성한 축산악취를 89% 저감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축산악취 원인물질로 알려진 스타이렌 (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황색을 띠는 기름성분의 액체물질 )을 28%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 미생물이 향후 악취개선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 등을 특허 출원했다.

 

연구진은 내년부터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 적용을 위한 사전 연구를 실시하고,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악취방지시설에 이 미생물의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 이번 담수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저감 소재개발은 악취 문제 해결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 며, “이 미생물이 실효성 있는 악취 저감 소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관련 후속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김선옥 기자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