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축산업발전, 다양한 수단과 기술 활용… 온실가스 감축 필요

2024.02.21 13:50:57

이용건 박사 " 제27회 농업전망 2024 대회"에서 ‘저탄소 축산업으로 전환 방안’ 주제 발표

 

지구온난화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150개가 넘는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포괄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 2050 탄소중립(Net-zero) 선언 이후, 2021년 ’글로벌 메탄 서약‘에 가입 등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축산부문도 2050 탄소중립을 위한 ’ 축산부문 2030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전략 (2024년 1월)을 공포하는 등 본격적인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의 선결 조건으로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효과, 축산농가 참여, 현장 적응 가능 수단, 축산업 발전과 연계를 제안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육 단계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용건 박사(부연구위원)은 지난 25일 열린 " 제27회 농업전망 2024 대회"에서 ‘저탄소 축산업으로 전환 방안’이 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은 의견을 개진하고, 기후 위기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은 불가피하며, 축산업의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해 다양한 수단과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축산업은 축사시설, ICT 장비 등을 이용해 일정 수준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으나, 축산농장에서도 폭염이나 폭우 등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축산업의 필수 투입 재인 사료 원료는 농업 생산물로 기상이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어 축산농가의 경영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글로벌 메탄 서약‘ 가입으로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 이상 감축해야 하나, 축산부문 메탄 배출량은 우리나라 총 배출량의 22.7%를 차지하고 있어 축산부문의 감축 노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축산부문에서 배출되는 주요 온실가스는 메탄, 아산화질소 등이다. 가축사육 마릿수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했으며, 축산농가 규모화로 온실가스 배출 및 가축분뇨 배출도 집약되고 있다. 2020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973만톤 CO2eq (총배출량의 1.5%)으로 전년 2020년 대비 25만톤 증가했으며, 탄소중립 기준연도인 2018년 대비 33만톤 증가했다.

 

<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한축산농가 인식>

 이용건 박사는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 관련, 가축의 사육단계는 ’ 가축관리 단계 ‘ 와 ’ 가축분뇨 처리단계 ’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에 대해 축산농가 인식과 제약요인 등을 조사한 결과를 제시했다. (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육계 등 609호 대상 )

 

 조사 결과,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 감소의 필요성에 대해 평균 58%의 농가가 공감하고 있었으며, 축산업 온실가스 배출 문제의 심각성 인식 정도는 과거 2021년 조사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에 참여 의향은 (26.3%)로 낮았으며, 저탄소 축산물 인증을 모르는 농가 (33%)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저메탄 사료급여 의향은 한우 24.1%, 젖소 32.7% 등이며, 적정 단백질 사료 급여 의향은 젖소 41.6%, 돼지 40.4%, 한우 35.5%, 육계 33.7%, 산란계 35% 등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용건 박사는 특히 “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사료 변경에 대한 제약요인은 ‘ 경영비(사료비) 상승’ ‘생산성 저하’ 등이며, 장비 및 시설 도입에 제약요인은 ‘ 초기 설치비 부담’과 ‘ 경영비 상승’ 등으로 나타났으며, 사료변경 및 장비 및 시설 도입 모두 해당기술을 잘 모름에 응답한 농가도 많았다“ 며 ” 축산농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부 지원 사항은 ‘ 경영비 증가분 지원’, 생산성 저하 및 수익감소분 지원‘, 기술도입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고 밝혔다.

 

<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도입 효과 >

이용건 박사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도입에 따른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기술(저메탄 사료, 적정 단백질 사료, 생산성 향상)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제시했다.

 

농식품부에서 발표한 축산부뮨 2030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성장 전략(’24.1.3)에 따르면 저메탄 사료 도입 효과는 보급률 78% 및 메탄 감축 효과 10%의 시나리오에서 온실가스 사료의 도입 효과는 보급률 48% 및 사료 내 단백질 함량 2% 감축 시나리오에서 온실가스를 총 44만톤( 돼지 15만4천톤, 가금 10만 5천톤 증) 감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박사는 ” 축종별 특성을 고려해 생산성 향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우 거세우 출하월령을 30.7개월에서 26개월로 단축하면 3만8천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며 ”, 젖소는 마리당 산유량이 10,303kg에서 10% 향상될 경우 16만5천톤, 돼지는 MSY가 17.9 마리에서 25만로 향상될 경우 4만5천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고 덧붙였다.

 

<축산부문 온실가스 감축방안은 >

이용건 박사는 “ 축산농가 조사 결과 온실가스 감축 기술도입 의향과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에 참여 의향이 낮게 나타나 ‘ 축산농가 인식개선’을  위한 축산농가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강화가 필요하며, 온실가스 감축 기술의 도입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기술도입을 유도하고, 생산비 상승이나 수익성 저하를 완화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 인센티브 개념의 축산농가 단위 탄소배출권 도입과 축산농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사업 및 제도 활성화, 축산농가 대상 탄소중립 직불금 도입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가축관리 단계에서 ‘저메탄 사료‘의 개발 및 효과 검증 등을 통한 상용화가 필요하며, 효과가 검증된 저메탄 사료는 그 효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며, 가축분뇨 처리단계에서는 가축마릿수 증가로 가축분뇨 배출량은 증가함에 따라 ’ 가축분뇨 처리방식에 다각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축종별 가축분뇨 특성 ( 분뇨 내 성분 ·비율 등) 및 축사시설( 축사 내 분뇨처리 형태)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 이후 단계 ( 온실가스 포집· 활용) 메탄가스 회수 기술 및 CCUS를 활용해 축산부문에서 온실가스 회수( 포집) 및 활용 기술에 대해서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

김선옥 기자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편집인: 김선옥|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