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꾸준히 유지, 농촌인구 증가 ·지역활성화 기여

2020.06.28 08:07:18

30대 하 젊은층 귀촌, 60대 귀농 흐름 지속
귀농 오랫동안 준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경향

<귀농귀촌 가구 및 인구 현황>

(단위 : 가구, )

구 분

‘14

‘15

‘16

‘17

‘18

‘19

귀농귀촌 가구

(귀농귀촌 인구)

310,115

(457,511)

329,368

(486,638)

335,383

(496,048)

346,759

(516,817)

340,304

(490,330)

329,082

(460,645)

귀농 가구

(귀농 인구)

10,758

(17,976)

11,959 (19,860)

12,875

(20,559)

12,630

(19,630)

11,961

(17,856)

11,422

(16,181)

귀촌 가구

(귀촌 인구)

299,357

(439,535)

317,409

(466,778)

322,508

(475,489)

334,129

(497,187)

328,343

(472,474)

317,660

(444,464)

 

귀농‧귀촌 흐름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농촌인구 증가와 지역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한 해 동안 총 329,082가구, 460,645명이 귀농‧귀촌한 가운데 농촌인구는 (‘10) 8,758천 명 → (‘15) 9,392 → (‘17) 9,629 → (‘18) 9,714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농식품부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 19년 귀농‧귀촌은 전년보다 다소 감소 ( (‘18) 490,330명 →(’ 19) 460,645명 (△29,685명, 6.4%↓) 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제성장 둔화와 이례적인 총인구이동 감소, 혁신도시 지방이전 종료, 1인 가구 이동 증가, 단계적으로 신중하게 귀농하는 경향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그러나, 저밀도 농촌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은퇴연령층 증가 ((‘19) 847만 명 → (’ 26) 941 ) 등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19년 통계조사 결과, 귀농․귀촌의 주요 특징은 연령별로 30대 이하 젊은 층의 귀촌과 60대 귀농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귀촌 가구 비중((’ 18) 43.8% → (‘19) 44.3) 이 전년보다 0.5% p 증가하였으며,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영향 등으로 60대 귀농가구 비중이 전년보다 다소 증가(2.0% p)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30대 이하 청년 귀농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특히, 귀농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하고 신중하게 선택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1인 귀농가구 비중( (‘18) 68.9% → (’ 19) 72.4% )이 전년에 비해 증가하여 가구주가 먼저 이주 후 가족 구성원이 합류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것으로 보이고, 

귀농 초기 임대농지 활용 등 적정 투자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 활동을 하는 귀농인이 증가하였다.

또한, 귀촌가구는 34.1%(‘18년 33.3%)가 직업(취업, 사업)을 이유로 귀촌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되어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가구의 경제활동(‘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으로 직장 취업 45.3%, 자영업 23.8, 농사 15.0, 임시‧일용 21.8, 농산물 가공‧판매 4.7 등이다. 

유원상 농식품부 경영인력 과장은 “‘코로나 19 영향으로 인해 귀농귀촌에 관심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 며 “ 도시민들이 농업‧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 정보제공, 취창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정명

주요내용

교육기관

교육기간

/인원

농업일자리 탐색

귀농기초

(2시간)

·귀농 기초(농업농촌 이해, 귀농설계 등)

156개 농업기술센터

6~10

3,120

귀농기초 및 자산관리

(4시간)

·귀농 기초 및 농협 특화(자산관리세제금융 등)

25

도시농협

6~11

2,365

농업일자리 탐색

(4)

·농업 일자리 정보, 취창업 및 지원정책 소개

·현장실습 및 일자리 체험

농업마이스터대학, 서울시

6~11

1,618

농업일자리 체험

(2)

·농업관련 일자리자격정보, 농작업 및 영농기술 소개

·지역 선도기업농가 등 현장실습 및 근로농작업 수행

지역아카데미

(서울, 안양, 대전,

광주, 창원)

6~9

562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관리자 기자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편집인: 김선옥|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