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최종 생산량은 예상 대비 3.5만 톤 감소

  • 등록 2025.11.13 17:08:29
크게보기

- ’25년산 쌀 최종생산량은 354만 톤(522kg/10a)으로 예상생산량 357만 톤(527kg/10a)보다 3.5만 톤(△1%) 감소 전망

올해 쌀 최종 생산량은  생산단수는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깨씨무늬병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13일 국가데이터처에서 발표한 2025년산 쌀 최종 생산량은 353만 9천 톤으로 10월 2일 발표했던 예상 생산량보다 3만 5천 톤 감소(△1.0%)했다. 다만, 올해 생산단수는 522kg /10a로 전년 (514) 및 평년 (518)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쌀 최종생산량이 당초 예상보다 감소한 원인으로는 깨씨무늬병, 9월 잦은 비로 인한 일조량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0월 13일 최종 생산량이 감소할 가능성을 감안하여, 쌀 초과 생산량 중 일부(10만 톤) 격리를 발표했다.

 

최종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올해 쌀 초과생산량도 일부 변동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는 내년 국가데이터처의 쌀 소비량 (’26년 1월 말 예정) 발표 결과를 토대로 수급을 정밀하게 재전망할 계획이다.

 

현재 가을 잦은 비로 인해 지연되었던 수확은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되어 대부분 완료됨에 따라 산지쌀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 쌀값  또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정부는 벼 매입가·산지·소비자쌀값 등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급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