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 등 3국은 앞으로 ▲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탄소중립형 농업 전환, ▲청년농업인 육성 등 각국의 핵심 정책을 중심으로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5년 8월 11일(월) 인천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성 대신, 한 쥔 중국 농업농촌부 부장과 함께 제4차 한일중 농업장관회의 개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2018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제3차 회의 이후 7년 만에 재개된 것으로, 코로나 19로 중단되었던 3국 간 농업 협의가 본격적으로 재개된 데 의미가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식량안보, ▲동물질병 대응, ▲지속가능한 농업, ▲농촌지역 활성화,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협력, ▲글로벌 협력 등 6개 핵심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각국 장관은 자국의 정책 현황과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에 대해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3국은 기후위기, 초국경 전염병 확산, 공급망 불안정 등 농업분야의 복합적 도전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탄소중립형 농업 전환, ▲청년농업인 육성 등 각국의 핵심 정책을 중심으로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또한, ▲청년농업인 교류사업 확대, ▲수석수의관 협의체 정례화, ▲세계중요농업유산 기반의 국가 간 경험 공유, ▲기후스마트 농업기술 공동 개발 및 정책세미나 개최 등 구체적 실행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정보교환을 넘어, 정책 연계성과 현장 적용성까지 고려한 실질적 협력 모델을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회의 종료 후 3국 장관은 공동선언문을 채택‧서명하고, 향후 농업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회의를 정례화·제도화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어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는 이번 회의 주요 성과를 공식 발표했다.
오찬자리에서는 3국 대표단 간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한·중·일 식문화를 조화롭게 담은 K-Food 시식과 3국 전통악기 협연을 통해 상호 공감대를 넓혔다.
차기 회의는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3국은 이번 논의의 연속성과 실천력을 이어 나가기 위해 긴밀히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송미령 장관은 “ 기후위기와 공급망 불안정 등 농업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3국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의 고민을 나누고 해답을 모색한 것 자체가 큰 의미”며, “이번 회의에서 시작된 논의가 앞으로 더 깊이 있고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