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장마철 집중호우로 딸기 육묘장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 관리와 사후 대책 수립을 강조했다.
딸기 모종을 기르는 육묘기는 장마 시기와 겹쳐 온실 내부가 물에 잠기는 등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이때 물에 잠긴 모종에서는 뿌리가 갈색으로 변하거나 새잎이 정상으로 자라지 않는 등 생리장해가 나타나기도 한다.
<딸기 모종의 뿌리 갈변> <딸기 모종 잎(지상부)의 생리장해>
△사전 예방
딸기 모종을 기르는 농가에서는 육묘장 주변에 충분한 깊이로 물길을 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강풍과 폭우에 대비해 온실 고정 상태를 점검하고 오래된 비닐은 미리 교체한다. 탄저병, 시들음병, 선충 등에 대비해 예방적 방제도 철저히 한다.
△침수 즉시 대응 방안
시설 내부가 물에 잠겼을 때는 재빨리 온실 안 물을 완전히 빼준다.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에 유의해 전기를 차단한 뒤,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기와 난방기 등 기기 작동 여부를 점검한다.
△사후 관리
침수 피해 증상이 심한 모종은 바로 제거한다. 피해가 적은 모종은 물뿌리개(스프링클러)와 고압분무기로 잎을 깨끗이 씻어낸 뒤, 탄저병, 시들음병, 역병, 작은뿌리파리 등 병해충 방제 약제를 번갈아 뿌려 준다. 24시간가량 침수됐더라도 방제 계획에 따라 2∼3일 간격으로 방제하면, 생존율 95% 이상의 정상 모종을 생산할 수 있다.
작물 없이 시설만 물에 잠겼을 때도 재배 전 토양과 배지, 재배틀(고설베드) 등을 염소계 소독제로 깨끗이 소독한다.
<약제 방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기초기반과 옥현충 과장은 “딸기 육묘기는 장마철과 시기가 겹쳐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라며 “사전 예방과 신속한 사후 관리를 통해 건강한 모종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당부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