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생물다양성대회가 오는 9월 25일(목) 전남 담양 창평권역 농촌체험휴양마을에서 “ 생물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위한 친환경농업 ” 이다 라는 주제로 열린다.
(사)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 김상기)와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 위원장 유장수)가 주최하고, 전남친환경농업협회, 담양군친환경농업협회가 주관하는 생물다양성대회는 2021년 충남 홍성에서 시작하여 △제1 · 2회 홍성 △제3회 경기 연천 △제4회 제주 서귀포에 이어 올해 다섯 번째로 열린다.
해마다 각 지역의 친환경농업 현장과 연계해 개최되며, 농업과 생물다양성의 상호 관계를 알리고 소비자 · 생산자가 함께 가치를 나누는 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개최지 담양은 전남 최초의 유기농 생태마을인 대덕면 시목마을(2009), 수북면 황덕마을(2010)을 비롯해 창평면 유촌마을(2022)까지 총 3곳의 생태마을이 조성된 지역이다. 생태공원과 생태교육 논도 운영 중이며, 호남의 젖줄 영산강 발원지로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곳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담양의 논습지에는 한때 농약사용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였던 멸종위기종 긴꼬리투구새우가 발견된 것을 비롯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수달 △2급 흑두루미 · 담비 · 삵 · 구렁이 등 포유류와 조류 △물방개·맹꽁이·참달팽이 등 양서·곤충류가 전남의 친환경농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포획과 채취가 금지된 도룡뇽도 발견되는 등 담양은 생물다양성의 보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현장은 국제기구의 연구 결과와도 맞닿아 있다. 국제유기농업운동연맹(IFOAM, 2024)은 “ 유기농업으로 관리되는 농지는 일반 농경지보다 평균 30% 더 많은 종을 보유한다”고 밝히며, 식물·수분 매개 곤충·조류가 큰 혜택을 받으며 이는 농업생태계의 안정성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2019)는 " 농업과 식량생산에 기반한 생물다양성이 생태계 유지와 인류의 지속가능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회에서는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공감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논생물 다양성 체험, 둠벙 (웅덩이) 체험, 토종씨앗 나눔, 반려곤충 만들기, 친환경 에코백 제작 등 교육적 체험을 비롯해, 담양 친환경농산물 구매 · 시식 부스에서는 채소 음료와 채소전 등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먹거리를 선보인다.
또 하나의 핵심 프로그램인 생물다양성 심포지엄에서는 △농업과 생물다양성의 상호관계 △전남 지역 논생물 조사 결과 △경제적 관점에서의 보전 가치 △국내외 정책 사례와 과제 △생산자 · 소비자의 역할 등 주제를 다루며, 학계와 현장 전문가들이 지속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논의를 이어간다.
김상기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회장은 “생물다양성은 생태적 · 경제적 · 사회문화적 · 윤리적 가치를 두루 갖고 있으며, 친환경농업은 이러한 가치를 지키는 실천적 대안이다 ” 며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농부들은 이를 실천하며 환경을 보전하는 파수꾼이다"고 말했다.
유장수 친환경농산물자조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은 “ 생물다양성대회는 매년 실제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생물군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자리이다”며 “앞으로도 사람과 생물이 공존하는 건강한 생태계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가치 확산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