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 연구 성과 공유” 국내 전문가 한자리에

  • 등록 2025.09.01 11:46:56
크게보기

- 농촌진흥청, 28일 거제서 ‘국가 농경지 환경자원 관리 기술개발 공동 연수회’ 열어
- ‘농업자원과 농업환경의 실태조사 및 평가’ 등 주요 연구 성과 공유
- 농업환경 보전과 친환경 농정 지원 방안 모색

우리나라는 오랜 시간 고투입‧집약적 농법으로 농업환경에 환경부하가 가중되는 가운데, 농업과 농업환경의 안전관리,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해 국가 주도의 체계적인 연구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8월 28일 경남 거제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 중인 ‘국가 농경지 환경자원 관리기술 사업*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공동 연수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국가 농경지 환경자원 관리사업은 친환경 농업 정책 사업 지원을 목적으로 추진 중이며, ‘공익직불제’와 ‘농업환경 보전 프로그램’ 등 주요 정책사업의 추진 근거 마련, 농업자원과 농업환경 실태조사, 농약·중금속 등 유해 물질 안전관리 기술개발 등 총 14개 주요 과제로 구성됐다.

 

이번 공동 연수회는 ‘2025년 한국토양비료학회 정기학술대회’ 특별 분과(세션)로 마련됐다. 농촌진흥청, 9개 도 농업기술원, 대학, 농산업 업계 등 전국 농업환경 관련 연구자와 전문가가 참석해 농업환경 보전과 친환경 농정 지원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전국 단위 농업환경자원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농업환경지표 산정’, ‘공익직불제 이행 점검을 위한 토양 적정범위 설정’, ‘농림축산식품부 친환경농자재 지원사업 공급 기준 마련과 효과 평가’ 등 친환경 농업 정책 지원 기술개발 성과를 소개했다.

 

농촌진흥청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은 “ 이번 공동 연수회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을 위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학계에 공유하고 농업환경 보전과 농업 관련 국정과제의 효율적 지원 방안을 찾는 뜻깊은 자리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정량화 연구로 공익직불제 시행 추진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또한, 1999년부터 체계적인 농업환경 실태조사로 선진국 수준의 농업환경 관리 토대를 마련해 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