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농업 순항 중 ... 탄소감축 신기술 도입 관건

  • 등록 2025.08.06 17:04:17
크게보기

-저탄소 농산물 인증농가 1만 1,690호로 확대, 신규 탄소감축 기술 도입 등 지속 확대 노력
- 2025년 상반기 저탄소 농산물 539건 4,833호 새롭게 인증
- 탄소감축 영농기술 신규 도입, 대상 품목 확대, 인증 컨설팅 및 판로 연계 지원 강화

 최근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분야 탄소 감축 확대를 위해서는 농업인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한 가운데 농업분야 탄소 감축활동 중 하나인 저탄소 농산물 인증이 확대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저탄소 농업기술 보급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5년 상반기 저탄소 농산물 인증을 확정하고, 하반기 인증 지원사업 대상 선정을 마무리함에 따라 농업분야 탄소감축을 지속 확대해 나간다고 밝혔다.

 

 저탄소 농산물 인증은 친환경 또는 농산물우수관리 (GAP) 인증을 받은 안심 농산물을 대상으로 저탄소 농업기술 (농업 생산과정 전반에 투입되는 비료, 농약, 농자재 및 에너지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영농방법 및 기술 )을 적용하여 생산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농산물에 부여하는 국가인증제도이다.

 

 올해 상반기 신규 인증과 갱신을 포함한 5백39건이 저탄소 농산물 인증을 확정함에 따라 기존 유효 인증을 포함해 총 1천2백12건, 1만 1천6백90호가 인증을 보유하게 되어 ‘저탄소 농산물 인증’ 표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증 대상 품목은 식량작물, 채소, 과수, 특용작물 등 총 65개, (유효기간) 2년이다.

 

 2012년부터 시행된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도로 2024년까지 65만 4천톤(누계)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대형마트, 백화점 등 9개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저탄소 인증 농산물 판매현황을 조사한 결과, 판매량이 매년 증가하여 최근 5년간 6만3천,5백20톤, 3천7백7억원의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인지도 조사에서도 다른 국가인증제도 만큼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24년 농정원 자료에 따르면 농식품 국가인증제도 소비자 인지도 조사 결과(인지율, %) , 저탄소농산물인증 84.8%, 가공식품 및 음식점 등 원산지인증 88.8%, 전통식품 품질인증 82.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소비 추세를 볼 때, 향후 인증에 참여하는 농가와 소비 기반이 모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농식품부는 하반기 저탄소 농산물 인증 갱신 1천6백83농가와 신규 1천6백37농가 선정도 완료했다. 연내 선정된 농가를 대상으로 인증 관련 교육, 컨설팅 등 지원을 통해 금년 인증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관계 전문가들은  " 저탄소 인증농가가 늘어나고 유통업체에서 저탄소 인증농산물의 판매가 매년 증가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다"고 하면서 "  기후변화 시대 농업은 식량안보, 온실가스 감축 및 농업환경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중요한 임무인 만큼 현장에서 농민들이  저탄소 농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토양 물 양분관리 등 정밀 농업 및 모델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북 영양에서 고추 농사를 짓고 있는 농업인 이 모씨는 "  기후변화와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탄소중립농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저탄소농법으로 고추를 생산할 계획을 갖고 있다" 며 "  현장 농민들이 실천할 수 있는 기술 및 모델 개발과 함께 생산한 저탄소인증 농산물이 제값을 받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박정훈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분야 탄소 감축 확대를 위해서는 농업인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농업분야 탄소 감축활동 중 하나인 저탄소 농산물 인증이 확대될 수 있도록 영농 자재와 노동력 투입은 절감하면서 이산화탄소 발생도 감소시키는 과학적 영농 방법을 저탄소 인증 신규 기술로 적극 적용하고, 대상 품목 확대, 인증 컨설팅 지원 및 판로 연계 강화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