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9일 전국 농축협 조합장 일동은 최근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협상 과정에서 협상 품목에 농산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보도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조합장들은 “ 그간 반복된 시장 개방과 통상 협정으로 농업은 꾸준히 희생돼왔으며, 특히 한국은 이미 한미 FTA를 통해 농업 관세의 97.9%를 철폐한 상태이고, 그 결과 2024년 기준 대미 농축산물 무역적자는 약 8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상기후로 피해가 가중돼 농가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며, “ 이런 상황에서 핵심 농축산물의 추가 개방은 농업의 붕괴를 가속화하고, 식량주권과 국민 건강마저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전국 조합장들은 ▲ 농업은 국가의 지속가능성과 식량안보를 위한 핵심 산업이므로, 이번 협상에서 반드시 전면 제외할 것 ▲ 국민 건강과 직결된 사안은 과학적 근거와 국제 기준(WTO SPS 등)에 따라 다뤄야 하며, 협상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될 것 ▲ 농업계와의 충분한 협의와 공론화 없이 일방적으로 협상을 추진하는 일은 중단하고, 농업계의 의견을 반영할 것 등을 촉구했다.
한편 조합장 대표들은 2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를 방문하여 성명서를 전달하였으며, “정부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식량주권 확보의 중요성을 정확히 인식하여, 더 이상 농민들에게 희생을 강요하지 않기를 바란다”며, “이번 협상에서 농업을 반드시 제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업환경뉴스 = 김선옥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