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 재배면적 당초 계획보다 1만ha 이상 추가 감축 예상

  • 등록 2024.06.23 17:08:21
크게보기

- 2024년 쌀 적정생산 대책 추진을 통해 벼 재배면적은 약 683천~689천ha 전망
- 2023년산 쌀값 하락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재배면적 감축 추진결과, 당초 목표보다 1만 ha 이상 추가 감축(5만톤 이상의 생산 감축 효과)

올해 벼 재배면적이 68만3천~ 68만9천ha로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부터 추진한 2024년도 쌀 적정생산대책을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현상은 전략작물직불, 지자체 예산활용(감축협약 포함), 농지은행, 농지전용을 통해 당초 계획(69만9천ha)보다 10천ha 이상 추가 감축하는 것이며, 지난해(70만8천ha) 대비로도 19천~25천ha를 감축하는 것이다.

 

당초 농식품부는 예상 수요량 등을 감안하여 올해 적정 벼 재배면적을 69만9천ha로 전망하고 지난 4개월 동안 지역별 쌀 적정생산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2023년산 산지 쌀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지자체 협의․농가 참여 독려 및 현장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과 전략작물직불제와 지자체 예산활용을 통해 22,881ha, 농지은행 매입 1,827ha, 농지전용 7,400ha 등 32,108ha의 벼 재배 감축면적이 접수됐다.

 

다만, 전략작물직불제 및 지자체 예산활용을 신청한 이후 벼 재배로 회귀하는 면적을 감안할 때 실제 벼 재배면적은 683천~689천ha로 전망된다.

 

이런 추가 감축은 전략작물직불 지원대상 품목을 논콩에서 완두․녹두․잠두․팥 등을 포함한 두류 전체로 확대하고 옥수수를 신규로 추가했으며, 두류와 가루쌀의 지원단가를 100만원/ha에서 200만원으로 100만원씩 인상하였고, 이러한 내용을 현장 농업인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참여를 유도하였기 때문에 가능하다. 1만ha 이상의 추가 감축을 통해 5만톤 이상의 2024년산 쌀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며, 이를 활용하여 2023년산 쌀 5만톤을 쌀값 안정을 위해 식량원조용으로 정부가 매입하기로 지난 6월 21일 열린 민당정 협의회에서 결정한 바 있다.

 

농식품부 최명철 식량정책관은 “벼 적정생산을 통한 수급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자체, 농협, 농진청, 쌀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총력을 다해 노력할 계획이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여름철 태풍․장마, 가뭄 등 재해 대응 및 신속한 병해충 방제 등을 통한 안정생산을 추진하여 수확기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