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급판정 소, 돼지 증가 … 한우 1등급 이상 75.2%

  • 등록 2023.04.01 21:52:47
크게보기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2년 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발간 -

 지난해 소 · 돼지 · 오리 · 말의 등급판정 두수는 2021년에 비해 증가하고, 닭 · 계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발간한 ‘2022 축산물등급판정 통계연보’에서 밝혀졌다.

해당 연보에는 소 · 돼지 · 닭 · 계란 · 오리 · 말의 등급판정 결과를 포함하여 총 62종의 통계자료가 수록됐다.

   

               [소 판정 두수 및 증감률]                                      [한우 판정 두수 및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

 축종별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해 소 등급판정 두수는 101만 1396두로 전년 대비 8.5%가 증가해 2015년 이후 7년 만에 100만 두를 초과했다.

 

한우 등급판정 두수는 86만 9147두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다. 한우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75.2%로 전년 대비 0.3%p 증가했고, 성별 출현율은 각각 암 47.4%, 수 0.7%, 거세 51.9%로 나타났다. 또한, 한우 거세 평균 경락가격은 20,980원/㎏, 평균 출하월령은 30.7개월로 나타났다. 한우 거세의 평균 도체중량은 461.0㎏, 등지방두께는 12.8㎜, 등심단면적은 97.0㎠, 근내지방도(BMS No.)는 6.2였다.

 

육우의 등급판정 두수는 8만 2757두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14.7%로 0.2%p 감소했다. 젖소의 등급판정 두수는 5만 9492두로 0.7% 감소했다.

 

  

             [돼지 판정 두수 및 증감률]                                                   [돼지 등급별 출현율]

 지난해 돼지 등급판정 두수는 1854만 5157두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으며, 1등급 이상 출현율은 67.6%로 0.3%p 증가했다.  등외를 제외한 돼지(탕박)의 평균 경락가격은 5,927원/㎏으로 전년 대비 707원(13.5%) 상승했고, 도체중량은 88.1㎏, 등지방두께는 21.1㎜로 나타났다.

       

           [닭 도계 수수 및 등급판정 수수]                                         [통닭 규격(호수)별 출현율]

닭 등급판정 수수는 1억 1373만 5395수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고, 전체 도계 수수*의 11.1%를 차지했다.

전체 도계 등급판정 수수 중 50.7%가 통닭으로 판정되었고, 규격별 비율은 12호 21.3%, 13호 19.6%, 11호 15.3% 순으로 나타났다.

 

  

 

         [오리 도압 수수 및 등급판정 수수]                             [오리 규격(호수)별 출현율]

 

오리 등급판정 수수는 2018만 8133수로 전년 대비 14.6% 증가했고, 전체 도압 수수*의 33.6%를 차지했고, 규격별 비율은 25호 17.2%, 24호 15.6%, 26호 15.5% 순으로 나타났다.

 

   

[계란 생산 개수 및 등급판정 개수]                                                   [계란 등급별 출현율]

 

계란 등급판정 개수는 11억 2047만 4857개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고, 전체 계란 생산 개수*의 6.8%를 차지했다.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88.8%, 1등급 11.2%, 2등급 0.0%였다.

 

                 [말 도축 두수 및 등급판정 두수]                                       [말 육질등급별 출현율]

 

말 등급판정 두수는 691두로 전년 대비 33.1% 증가했고, 전체 도축 두수*의 46.0%를 차지했다. 육질 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40.7%, 2등급 32.0%, 3등급 26.6%, 등외 0.7%로 나타났다.

* 말 도축 두수: 농림축산검역본부 발표 수치

 

한편, 본 통계연보는 축산물품질평가원 누리집(www.ekape.or.kr)*에서 누구나 쉽게 전자파일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박병홍 원장은 “이번 통계연보가 가축개량, 사양관리, 정책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축산물품질평가원은 객관적인 축산데이터 확보와 분석을 통해 소비자 정보를 확대하고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농업환경뉴스 =  윤준희 기자)

윤준희 기자 younjy6080@gmail.com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