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에 국거리·불고기용 한우 소비 비중 늘었다

  • 등록 2023.02.17 11:44:43
크게보기

- 축산물품질평가원 설 명절 ‘소비자 패널 데이터 조사’ 결과 -
- 소고기 살 때 품질 등급 고려하는 소비자 비중 크게 늘어 -

 올해 설 명절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국거리 · 불고기용 한우 소비 비중은 늘고 구이용 한우 소비 비중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한우 구매 장소의 경우 ▲슈퍼마켓(23.4%) ▲농·축협(22.5%) ▲대형마트(19.7%) 순으로 

조사됐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 박병홍)은  이같은 결과의   ‘소비자 패널 데이터 조사’가 나왔다고 밝혔다.

 

소비자 패널 데이터란, 주도적 의사결정으로 축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 3,000명의 동향을 지속 반복 · 추적하여 수집한 데이터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소비자 패널의 데이터를 통해 올해 설 명절* 한우 소비 동향 변화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설에 소비자가 가장 많은 양을 구입한 한우 부위는 ▲ 양지(30.7%) ▲ 설도 (17.9%) ▲ 등심( 16.6%) ▲우둔살 (13.1%) 순으로 나타났다   <표1>  

특히, 국거리 · 불고기용으로 쓰이는 우둔살 소비 비중은 지난해 설 명절 기간에 비해 가장 많이 상승(4.4%p)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구이용으로 쓰이는 안심, 갈비살은 각각 4.9%p, 2.2%p 감소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이 줄어들면서 차례상에 올릴 산적용이나 불고기용으로 한우를 구입한 소비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우 구매 장소의 경우 ▲슈퍼마켓(23.4%) ▲농·축협(22.5%) ▲대형마트(19.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설에 비해 농·축협, 슈퍼마켓, 온라인 구입 비중은 각각 6.4%p, 3.4%p, 2.4%p 늘어난 반면, 정육점, 백화점 구입 비중은 각각 9.6%p, 0.7%p 하락했다 <표2>. 

구매 장소에 대한 선택 이유를 살펴보면 각각 농·축협은 ‘품질이 좋아서’, 슈퍼마켓은 ‘접근이 편리해서’, 온라인은 ‘장 보기 편해서’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소고기 구매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품질(등급)(39.3%) ▲원산지(24.5%) ▲가격(18.2%) ▲신선도(16.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30~40대의 경우 품질(등급)을 우선 고려한다는 비중이 42.9%로 지난해 설 명절에 비해 17.8%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3>. 

한편, 소비자 패널 데이터는 축산유통정보 누리집 ‘통계-소비자패널 데이터’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 목적에 따라 축종, 기간 등을 설정하여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박병홍 원장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정보가 축산물 소비변화 파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국민 관심이 높은 축산물 소비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농업환경뉴스 = 관리자 기자)

관리자 기자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