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로 볏짚 말리기 어렵다? 담근 먹이 만들어 해결

  • 등록 2021.10.21 15:45:07
크게보기

- 생볏짚에 젖산균 첨가…저장기간 늘고, 가축 섭취량 많아져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벼 수확시기 강우로 볏짚 수거가 어려울 경우 생볏짚을 담근 먹이로 만들어 풀사료로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볏짚은 일반적으로 벼 베기 후 5∼8일 정도 건조한 뒤 작업기계로 수거하여 가축이 먹는 풀사료로 활용된다. 그러나 올해는 벼 수확기인 10월의 잦은 비로 인해 볏짚 수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볏짚은 국내에서 이용되는 전체 풀사료의 약 50∼55%를 차지하고 있다. 볏짚 생산량이 줄어 볏짚 가격이 오르면,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벼 수확 후 볏짚이 마르기 전에 비 예보가 있다면 생볏짚을 담근 먹이(사일리지)로 만들어 가축에 급여할 수 있다. 탈곡 후 생볏짚을 모아 둥글게 압축하고 젖산균 첨가제를 처리한 다음, 비닐로 6겹 이상 감아주면 6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다. 젖산균 첨가제를 처리하면 가축의 섭취량이 40% 정도 늘고, 품질 등급도 4등급(불량)에서 2등급(양호)으로 높아졌다.

 

또한, 볏짚을 담근 먹이로 제조하면 수거 기간을 단축해 겨울 사료작물을 적기에 파종할 수 있어 다음해 풀사료 생산량 확보에 유리하다.

볏짚을 수거한 논에서 겨울 사료작물을 파종할 때에는 소똥(우분) 퇴비(헥타르당 10∼20톤)를 뿌려 유기물을 토양에 환원시켜야 비옥도를 유지할 수 있다.

 

플러스팜 영농조합법인 이경식 대표(전라남도 보성군)는 “논에서 볏짚 수거가 지연되면 겨울작물 파종 적기를 놓칠 수 있기 때문에 볏짚을 말리기 어려울 경우에는 담근 먹이를 만드는 것이 농가에 유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천동원 초지사료과장은 “잦은 강우로 논의 볏짚을 수거하기가 매우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최대한 볏짚을 확보해 풀사료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농업환경뉴스 = 편집국 기자)

관리자 기자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11-12 (우)06714 등록번호 : 서울,아52858 | 등록일 : 2020.02.11 | 발행인 : 김선옥 | 편집인 : 윤주이 | 전화번호 : 02-588-7036 | 이메일 : aen@agemnews.co.kr Copyright ©2020 농업환경뉴스. All rights reserved.